발전소 운전데이터 기반 ‘가상 공정제어 시스템’ 기술개발 착수
[충청뉴스 박영환 기자] 한국서부발전은 11일 충남 태안 본사에서 발전소 디지털트윈(가상모형)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인 가상 공정제어 시스템 기술개발 착수회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에 앞서 서부발전은 복합발전 드럼수위 제어 등 발전소 공정에 가상 공정제어 기술을 시범 적용해 실제 공정 안정성이 향상되는 성공적인 성과를 거뒀다.
이를 토대로 서부발전은 약 4년 이내에 복합발전 전 계통에 해당 기술을 확대 적용해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자율운영 발전소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는 서부발전의 제어분야 전문가와 발전소 제어설계 전문기업인 한울전력기술, 서울대학교가 참석해 개발과제 수행 방안과 세부 일정, 향후 협력 방향 등을 논의했다.
이번 과제는 국내 발전사 최초로 발전소 운영 과정에서 축적된 방대한 운전데이터의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통해 주요 공정을 가상환경에서 재현하고 현장의 제어 로직과 동일한 가상제어기를 연동해 설비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상공정시스템이 구축되면 실제와 가상공간과의 단순 데이터 연계를 넘어 가상 모의를 통한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최적 운영 방안을 예측해 보다 정밀하고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기술개발은 지난해 서부발전이 주관한 ‘발전데이터 활용 창업·벤처기업 협업사업’의 성공사례를 기반으로 추진되는 후속 과제로, 서부발전은 이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산학 협력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이정복 서부발전 사장은 “국내 최초로 발전소 운전데이터 기반의 가상 공정제어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설비 운영을 최적화하고 사고를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발전소 전 영역의 디지털트윈화를 가속화하고 예측진단·자동제어 등 스마트 발전소 전환을 선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