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으로 인한 수질오염과 하천의 토질악화를 막기 위해 ‘4대강 보의 수문을 개방해야 한다’는 여론이 빗발치고 있는 가운데 ‘4대강 보의 수문을 개방하거나 해체할 시 더 큰 재앙이 야기될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새정치민주연합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시․국토교통위)이 국무조정실 4대강조사평가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4대강조사평가위원회 회의록’에서 드러났다.
회의록에 따르면, 4대강 사업 마스터플랜 수립 책임자인 오모씨는 지난 8월 22일 개최된 4대강조사평가위원회 제 26차 회의에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보 수문개방이나 해체를 주장하는 경우, 하천의 동적 평형상태를 찾기 힘들어 이전 하천 상태로의 회복이 어렵고 하천 제내지내 새로운 지하수 문제가 발생하는 등 보다 심각한 문제야기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보의 수문을 개방하거나 해체할 경우 하천 토사의 급격한 유입과 그로인한 하천침식 등 예기치 않은 심각한 상황을 초래함으로써 보와 하천제방의 안전성이 크게 위협받을 뿐만 아니라, 강물 수위가 낮아져 강주위의 지하수를 흡수하게 됨으로써 하천주변의 토양과 농지가 황폐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에대해 박수현 의원은 “만일 4대강마스터플랜 수립 책임자의 발언이 사실이라면 우리 국민 모두는 시한폭탄을 머리맡에 두고 잠자는 격”이라며 “국민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진실규명을 위해 4대강 준공전부터 줄기차게 요구해왔던 국정조사를 즉각 실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수현 의원은 또 “환경‧시민단체와 4대강 주민들의 빗발치는 수문개방 요구에 대해 꿈쩍하지 않던 정부와 관계기관의 그간 행태를 보면 수문개방이 이루어질 경우, 대재앙이 닥칠 것이라는 사실을 미리 알고 있었던 것 같다”면서 “국토파괴를 넘어 대재앙의 씨앗을 뿌린 책임자들은 반드시 그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고, 4대강 사업의 위험성을 사전에 알고도 침묵하고 은폐해온 사람들도 그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토사유입・하천침식 등 심각한 상황 야기, 이전 하천생태 회복 어려워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