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희 충남도의원, 송전선로 억제 공조체제 구축 제안
정정희 충남도의원, 송전선로 억제 공조체제 구축 제안
  • 김거수 기자
  • 승인 2015.12.16 14: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개 시·군 합동 전원개발 촉진법 개정, 발판 마련 등 TF팀 구성 필요성 제기

▲ 정정희 충남도의원
충남도의회 정정희 의원(새누리당, 비례)이 충남도내 늘어나는 송전선로를 억제하기 위해선 도와 시·군 간 합동으로 공조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관련 태스크포스(TF)팀 구성을 통해 전원개발 촉진법을 개정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등 미래 피해에 합당한 보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 의원은 16일 열린 제283회 정례회 4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송전선로 피해방지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도내 화력발전소 규모는 당진, 보령, 서천 등 5개 시·군에서 총 1580만KW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문제는 2019년까지 당진, 보령, 서천, 태안 등 4개 시군에서 955만KW에 달하는 발전시설이 증설 또는 건설될 예정이라는 점이다.

이는 도내 5개 시·군 생산 발전량은 2535만KW으로, 전국 2090만 세대의 약 40%를 충당할 수 있는 규모다.


정 의원은 “한전이 필요적으로 관리하는 송전선로는 1369㎞에 이른다”며 “철탑설치 수량은 4141개가 증가할 전망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전국 지자체 중 최대로 설치된 철탑과 송전선로에 의한 피해가 가장 크다”며 “앞으로 더 증설될 계획은 그 심각성을 더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신당진변전소로 인해 7개 노선에 107개 철탑이 흉물로 솟았다”며 “사람이 살 수 없는 지역으로 퇴락했다. 송전선로 지중화 요구는 충남만 외면 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경기도 평택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단지에 공급되는 전력은 지중화(34.2㎞)로 추진되고 있는 반면, 충남 지역은 철탑과 송전선로가 지배하고 있다는 게 정 의원의 분석이다.

정 의원은 “지중화율을 보면 서울시 90%, 인천시 65%에 해당한다”며 “충남의 지중화율은 1.38%에 그친다. 이 중 당진시는 0.47%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 의원은 “전원개발 촉진법 등의 법률이 합리적으로 개정될 수 있도록 5개 시·군 간 공조해야 한다”며 “철저한 대응 전략과 추진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발전소 주변 지역 오염물질 배출과 기후, 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송전선로 주변 지역민의 현존하는 피해를 수집해야 한다”며 “사업비만 운운하는 한전의 행태를 함께 고민하고 실마리를 풀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