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안정적 인구관리 추진방안 마련 발표
대전시, 안정적 인구관리 추진방안 마련 발표
  • 조홍기 기자
  • 승인 2015.12.27 16: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구유입촉진, 기업환경 조성, 유동인구 증대 등 9개 과제 제시

▲ 대전시청
대전시가 안정적 인구관리를 위해 △인구유출 억제 및 유입촉진, △기업하기 좋은 환경조성으로 기업유치 촉진, △유동인구 증대를 통한 원도심 활성화 등 3대 분야를 핵심 대상으로 9개과제 35개 세부실행과제를 마련했다고 24일 밝혔다. 

그동안 안정적으로 증가하던 대전 인구는 세종시로의 전출이 이어지면서 2014년에 첫 감소를 기록했다.

2013년 인구 1,532,811명 대비 2014년 1,531,809명으로 1,002명이 감소한 것이다. 세종시를 제외하면 전출보다 전입이 더 많지만(+2,514명), 세종시로의 순유출(-11,352명)이 결정적이었다. 

세종시 출범 이후 올해 10월까지 대전에서 세종으로 전출인구는 44,912명으로 세종시 전체 유입인구(141,773명)의 31%를 차지한다. 세종시 유입은 수도권(31.5%)보다 충청권(57.4%)이 2배 정도 높다. 

세종시로 유출되던 인구가 2015년 6월을 계기로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긍정적인 신호이지만 세종시 주택공급계획 등을 고려하면 2017년까지는 전출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시 손철웅 정책기획관은 “주소는 다르지만 세종에서 대전으로, 대전에서 세종으로 출퇴근하는 인구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면서 “인구 200여만의 단일 경제공동체 또는 생활공동체로 진화 발전해야 할 상생협력의 동반자 관계인만큼 일시적인 인구이동 현황에 대해 지나치게 일희일비하거나 민감한 반응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대전시는 인구현황과 장래인구추계를 바탕으로 인구유출입, 기업전출입, 유동인구라는 3대 부문을 핵심대상으로 9개 과제 35개 세부실행과제를 마련하여 시행할 계획이다. 

첫째, 인구유출을 억제하고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행복주택 등 양질의 주택을 지속 공급하여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역세권과 GB해제지역을 대상으로 기업형 임대주택(New Stay)을 건설, 수도권 등의 인구유입을 촉진하며, △대학생 주소갖기 운동을 자치구와 연계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대전시는 정부에서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기업형 임대주택을 지역의 관문인 대전역 근방의 역세권 개발 지역에 공급하여 편리한 대중교통망과 KTX 등을 연계하여 추진한다면 높은 전세비용 등으로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등으로 출퇴근하는 많은 청년세대들이 대전으로 유입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둘째,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을 통한 기업이탈 방지 및 기업유치 촉진을 위해 △산업용지 지원, △자금 및 판로지원, △기업유치 및 환경개선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손철웅 정책기획관은 “그동안 대전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온 행복경제 1.2.3 프로젝트는 대전경제의 체질을 개선하기 위한 거시적 차원의 접근이었다”면서 “이번에 마련한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을 위한 획기적 인센티브 제공 방안은 기업의 탈 대전 방지 및 기업유치 촉진을 통해 ‘일자리 창출 – 인구유입 – 일자리재창출의 선순환 구조’를 안정적으로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셋째, 유동인구 확대를 위해 △안산첨단산업단지 조성과 연계하여 세종시 인접지역에 가칭 ‘음식문화 특화단지’추진방안을 검토하여 세종시에서 대전으로의 유동인구를 확대하고, △중앙로 차없는 거리 등 사람이 모이고 일자리가 생기는 원도심 활성화를 통해 지역상권을 되살리고, △역세권 개발과 중단된 주거환경 개선사업의 재개를 통해 대전역 주변 낙후지역을 미래형 명품복합도시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대전시는 미래인구 변화에 대응하면서 시의적절한 중장기 전략 수립을 위해 인구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올해 12월에 전국 최초로 개발한 ‘자치구 장래인구추계’와 ‘베이미부머 통계’도 이의 일환이었다. 이를 통해 인구와 관련된 국가승인통계는 전국의 광역시도가 ‘주민등록인구통계’ 1종인데 반해 대전은 3종을 생산하는 체제를 갖추었다. 

손 기획관은 “인구이동은 경제, 환경, 교통, 주거, 문화, 교육, 생활여건 등 총체적인 복합요인이 작용하는 산물인만큼 무엇보다도 대전의 매력도를 높이는 일이 중요하다”고 전제하면서 “이를 위해 행정 전 분야에 걸친 업그레이드와 함께 무엇보다 대형국책사업이나 각종 유치사업과 대전발전과 직결된 현안사업을 차질없이 수행해 나가도록 행정역량을 집중하는데도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