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치원신봉초등학교에 세계 최초로 최적의 신재생융복합 시스템이 완공돼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신재생융복합 시스템’은 여러 종의 신재생에너지를 함께 써 최적의 효율을 구현할 수 있게, 태양광으로 생산된 전기를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해뒀다가 전력 소비가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이다.
세종시교육청(교육감 최교진)은 신재생융복합시스템 무상설치에 따라 약 4억원의 민자유치와 연간 1,300만 원 이상의 전기요금 절감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배정익 시설과장은 “이번 신재생융복합시스템 가동은 단순하게 보면 태양광 전력생산으로 학교 전기요금의 절감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장치를 활용, 찜통교실을 완전히 해소해 줄 수 있을 것이다”면서, “앞으로 모든 학교에 구축하여 학생의 건강과 학습권을 보호하고, 찜통교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학교 모델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시교육청과 ㈜에스에너지(대표 홍성민)는 지난해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무상 설치”에 대한 양해각서(MOU) 체결 후 시설공사와 관련기관의 인증, 검사 등 필요한 절차를 완료하고, 시험가동을 거쳐 전력생산에 들어갔다.
특히, 이번 신재생에너지설비는 태양광발전장치만으로 구성된 기존의 방식과 달리 태양광발전장치(100kw), 에너지저장장치(ESS,120KW) 및 에너지관리시스템(EMS)등이 조합되어 전력생산과 저장, 소비가 최적의 시스템으로 관리되는 세계최초의 1,500V급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다.
이 때문에 가동까지는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세계 최초의 1,500V급 설비이다 보니 인증기관에서는 적합한 인증 매뉴얼이 없어 인증방법 및 항목을 새롭게 만들어야 했고, 학교환경에 최적화된 에너지관리시스템 개발에도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었다.
한편, 이번 발전시스템은 ㈜에스에너지에서 5년간 실증자료 수집완료 시까지 유지보수를 지원하고, 세종교육청에 무상 기증된다.
4억원의 민자유치와 연간 1,300만 원 이상의 전기요금 절감효과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