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건축물 특화 고도화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거점도시로 조성
이충재 행복청장은 24일 정부세종청사 브리핑룸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단지별 또는 생활권 전체를 특화하여 행복도시 전체를 「살아있는 건축박물관」으로 계속 육성해 전 세계 관광객 뿐만아니라 건축관련 전공자들이 찾아오는 도시로 만들것“이라고 밝혔다. 
행복청은 그동안 행복도시에 건립되는 모든 공공건축물을 설계공모를 통해 도시의 랜드마크로 특화해 왔다. 특화된 디자인이 실제 구현될 수 있도록 건축 관련 신기술과 신공법을 집적화하여 건축기술 경연장이 되어왔다.
이렇게 특화하여 건립한 정부세종청사와 국립세종도서관, 대통령기록관 등은 행복도시를 상징하는 세계적인 건축물로 국내외의 호평을 받고 있다.
행복청은 지금까지의 공공건축물 특화를 한단계 고도화하여 행복도시에 건립되는 모든 공공건축물을 현대건축에서 유행하고 있는 건축양식을 집대성 한다는 방침 아래,
설계공모 단계부터 특정 건축양식을 정하여 공모함으로써, 2030년 공공건축물 건립이 완성되면 자연스럽게 행복도시를 “건축박물관”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건축양식의 다양성과 함께 운영효율과 기능성 차원에서 제로에너지 건축물로 설계공모한 세종선거관리위원회 청사는 태양광과 지열 등을 활용하여 전체 사용에너지의 92.4%를 절감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한 바 있다.

2016년 하반기와 내년도에 설계공모가 예정되어 있는 경찰서와 세무서 등 공공건축물에는 건축양식 측면에서의 특화 뿐만 아니라 가장 긴 캔틸레버(내민보)를 가진 건축물이나 내부에 기둥을 가지지 않는 건축물, 역쉘구조등 구조적으로 특화한 건축물도 건립할 계획이다.
아울러 근대 이전의 건축양식이나 건축물의 재료와 구조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공공건축물도 건립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