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도시 중심의 충청권, 40분대로 가까이
행복도시 중심의 충청권, 40분대로 가까이
  • 최형순 기자
  • 승인 2017.03.08 13: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권 광역교통협의회, 광역 대중교통 비전 제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이충재)은 지난 7일 충북 증평에서 대전광역시(시장 권선택),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이춘희), 충청북도(도지사 이시종), 충청남도(도지사 안희정), 청주시(시장 이승훈), 공주시(시장 오시덕) 등 국가기관 및 6개 지방자치단체가 모여 「행복도시권 광역교통협의회(이하 광역교통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충청권 광역교통협의회 개최 모습

이번 협의회에는 위원장인 행복청 차장을 비롯해 충청북도 부지사, 행복청 기반시설국장, 대전시 교통건설국장, 세종시 건설교통국장, 충북 균형건설국장, 충남 국토교통국장, 청주시 건설교통본부장, 공주시 미래도시사업단장 등이 참석하였다.

이 날 가장 먼저 한국교통연구원(원장 이창운)이 연구 중인 행복도시권 광역 비알티(BRT)의 국제적 수준 향상 방안을 발제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향후 행복도시를 중심으로 반경 40km 이내에 충청권 인구 500만 규모의 대도시(메가시티)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행복도시로부터 20km 이내 6개 주요 거점(조치원, 오송역, 청주․공주터미널, 대전 도시철도 반석역, 과학벨트 신동․둔곡지구)까지 20분 내, 40km 이내 확대 거점(청주공항, 천안아산․대전․공주역)까지 40분 내 광역대중교통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비전을 제시하였다.

충청권 광역교통협의회 개최 모습

협의회는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4대 과제 해결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 주요 환승거점 개발과 광역 비알티(BRT) 직결망 연결▲ 대량 수송이 가능한 고급 대중교통수단 도입▲ 대중교통 통합환승요금체계 도입▲ 4개 광역 지자체를 아우르는 광역교통 통합행정기구 설치 등

이 외의 각 자치단체별 논의 사항으로는 충청권의 광역 대중교통 거점인 청주공항, KTX오송․공주역과의 연계를 강화하자는 내용이 제시되었다.

대전시는 광역 환승 거점으로서의 기능 강화를 위해 대전역 환승센터를 구축하고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에 앞장서며, 세종시는 광역권 핵심 대중교통수단인 비알티(BRT)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도시교통공사를 설립하고 국내 최초로 비알티(BRT) 공영 운영을 추진한다.

공주시는 KTX공주역~정부청사 간 비알티(BRT) 노선 신설 방안 필요성을, 충북도에서는 KTX오송역~청주공항 간 광역도로 신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청주시는 오송역 버스 승하차 위치가 서로 달라 발생하는 불편 해소를 위해 서광장에 버스 환승센터를 구축하여 역사에서 나오자마자 버스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서로 협력키로 했다.

광역교통협의회에서 논의하는 사항은 지속적으로 협의하여 시민이 편리함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광역대중교통 체계를 구축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행복도시권 광역교통은 2013년 청주 오송역~행복도시~대전 반석역 3개 광역권을 연결하는 990번 비알티(BRT) 노선을 신설한 후 2016년 말 누적 이용객이 천만 명을 돌파하였고,

2016년 7월 청주 오송역~행복도시~대전역을 연결하는 1001번도 노선 추가 이후 이용객이 꾸준히 증가하여 불과 7개월 만에 3대를 증차하였다.

비알티(BRT) 외에도 세종 조치원~행복도시~대전 반석역을 연결하는 1000번을 2016년 7월 투입하여 최근 운행 횟수를 104회에서 150회로 30% 이상 증회하였고, 앞으로도 광역노선 수요가 급격히 증대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광역교통협의회 행사 주최를 맡은 설문식 충북 부지사는 “행복도시를 중심으로 한 충청권 광역 도시권은 향후 서울․경기 수도권에 버금가는 발전 잠재력을 가진 지역”이라면서

“편리한 광역대중교통 통합 체계와 새로운 광역교통행정체계 구축은 지역별 이해관계를 떠나 충청권이 국토 중심으로 자리 잡는데 필수적 과제로 전 지자체에서 관심을 가지고 힘을 합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