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대병원(원장 최원준)은 5일 중부권 최초로 ‘왓슨 암치료’에 들어갔다.
건양대병원은 이날 ‘인공지능 암 진료실’ 개소식에 이어 첫 번째 왓슨 다학제 진료를 받은 환자의 사례를 공개했다. 이 환자는 유방암 3기 진단을 받은 40대 K씨로, 최근 유방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 이후, 혹시 모를 잔여 암세포를 제거하고 재발을 막기 위한 항암치료 약물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인공지능 의사 ‘왓슨’을 만난 것이다.

왓슨은 300여 종의 의학저널과 문헌,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의 임상사례를 종합하여 K씨에게 가장 적합한 항암치료제를 제시했다. 이는 외과, 혈액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등 여러 진료과로 구성된 건양대병원의 유방암팀의 의견과 일치하는 내용이었다.
건양대병원 암센터 윤대성 교수는 “왓슨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은 최신 의학지식을 끊임없이 학습하고 업그레이드 한다는 점”이라며 “세계적으로 검증된 국제표준의 암 치료를 안방에서 제공받는 셈”이라고 말했다.
K씨는 “솔직히 컴퓨터가 내 병의 치료계획을 제시한다는 것이 의심스러웠지만, 암 진료팀의 의견과 일치했다고 하니 추후 치료에 확신이 생긴다”라고 말했다.
IBM 인공지능 ‘왓슨 포 온콜로지’는 담당 의사가 암 환자의 정보와 의료기록, 검사결과 등의 항목을 입력하면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적의 치료법을 찾아내 수십 초 안에 제시해준다. 최신 의료정보와 문헌을 의사가 모두 파악할 수 없는 현 상황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계속 업데이트 하는 왓슨이 ‘조력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의료진의 효율적인 결정에 도움을 주는 보조 수단일 뿐 치료 방향과 환자와의 소통은 의사가 담당한다.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으로 일컬어지는 4차 산업혁명이 의료분야를 정조준하고 있는 가운데 건양대병원이 중부권 최초로 왓슨을 도입한 것에는 큰 의미가 있다. 암 환자의 수도권 대형병원 쏠림 현상을 변화시킬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건양대병원 최원준 병원장은 “결국 미래의 의료 패러다임은 변할 수밖에 없는데, 왓슨 도입의 가장 큰 의미는 지역 환자들의 불편을 줄여주는 것”이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암환자에게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게 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공지능 암 진료실’ 개소식에는 권선택 대전시장, 김희수 건양대 총장, 최원준 병원장을 비롯한 50여 명의 내·외빈이 참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