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제4차 산업혁명 특별도시 육성' 등 문재인 대통령의 대전시 공약을 구체화하기 위한 실행 계획을 마련하는 등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권선택 대전시장은 16일 브리핑에서 "대전시 외에도 경기남부지역은 4차 산업혁명 혁신 클러스터, 광주는 문화 융합형 4차 산업 중심도시에 대한 공약이 있었다"며 "대덕특구, KAIST, 과학벨트 등 과학 인프라를 바탕으로 충남·충북·세종과 연계해 대전시를 거점으로 4차 산업혁명을 이끌 것"이라고 밝혔다.

권 시장은 또 문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월평동 화상 경마장 이전에 대해 장외발매소 입장객으로 인해 주차난, 주거환경 및 교육환경 훼손 등의 피해로 인해 도시 외곽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한국마사회 장외발매소 이전의 고유권한 있는 농림축산식품부에 건의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월평동 화상경매장이 이전되면 상권이 크게 흔들릴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 권 시장은 “그런 우려에도 불구하고 도심내 도박중독자 확산이라는 문제는 경시할 수 없다"면서 "대체시설을 마련해 상권 약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모든 의견을 수렴해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권 시장은 이날 문 대통령이 약속한 9개 사업에 대한 실행방안을 밝혔다. 9개 사업의 총 사업비는 약 3조 3318억 원으로 추산한 가운데 국비 2조 1596억 원, 시비 1조 1722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 가운데 핵심은 4차산업혁명 특별시 육성이다. 사업비는 약 1조 2109억 원으로 추산된다. 4차산업혁명 특별시 육성을 위해 시는 스마트융복합 산업 집중육성, 인프라구축, 민간파급을 위한 실증화단지 조성을 3대 전략으로 세웠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을 위해 우선, 관련 산업육성을 위해 대동·금탄지구에 원천소재개발 센터와 융복합R&D 플라자를 구축하고 과학벨트 신동·둔곡 지구엔 유전자의약산업 진흥센터와 원자력의학원 건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신동·둔곡 지구엔 로봇산업기반과 조성을 위한 서비스로봇 SW품질 시험원과 드론 서비스 실증센터도 조성키로 했다. 이와 함께 유성구 도룡동에 영상사전시각화(Previz)센터 및 스마트 VR/AR(가상/증강현실) 융복합 콘텐츠 센터를 건립하는 한편 안산동엔 국방중소벤처진흥원과 국방ICT융합센터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달 중 권선택 시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4차산업혁명 추진위원회를 출범하고 7월중으로는 전담조직도 가동할 예정이다.
한편, 문 대통령의 대전시 공약은 4차산업혁명 특별시 육성, 국립 어린이 재활병원 건립, 대전의료원 설립, 옛 충남도청 이전부지 조기 활용, 대전 외곽순환도로 교통망 구축,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조기 착공, 대전교도소 이전, 월평동 화상경마장 외곽 이전, 원자력의학원 건립 등 9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