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産)-연(硏) 상생 ‘지속가능한 제조업 혁신’ 맞손
산(産)-연(硏) 상생 ‘지속가능한 제조업 혁신’ 맞손
  • 조홍기 기자
  • 승인 2017.07.11 13: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1일 기계연-두산공작기계㈜ 30여 년 인연 결실 MOU

기계연과 두산공작기계㈜는 11일 기계연 박천홍 원장과 두산공작기계㈜ 김재섭 사장 등 두 기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공작기계 관련 차세대 핵심기술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기계연-두산공작기계 협력 협약식

이번 협약은 기계연과 두산공작기계의 30여 년에 걸친 오랜 인연을 바탕으로 추진됐다.

무엇보다 두 기관의 협력은 출연연과 대기업간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을 정착시켰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를 갖는다.

창원에서 시작된 인연을 바탕으로 기계연이 본원을 대전으로 이전하고, 대우종합기계가 두산인프라코어를 거쳐 두산공작기계로 분사하는 등 오랜 역사를 함께 하며 끈끈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온 것이다. 정부 대형과제를 함께 수행하고, 해마다 친선 축구대회를 개최하는 등 실질적인 교류를 위한 양측 모두의 지속적인 노력 덕분이다.

기계연-두산공작기계 협력 협약식

두 기관은 지금까지 △고속 지능형 가공시스템 개발 연구(1999∼2004) △초정밀 Turning Machine 개발(1999∼2002) △초정밀 5축 가공기 개발(2004∼2008) △다계통 e-CNC 개발(2005∼2010) △IT 부품 가공용 고유연성 머시닝센터 개발(2008∼2011) △대면적 미세 가공시스템 기술 개발(2007∼2010)등의 과제를 공동으로 수행해왔다. 오는 2019년까지는 24시간 이상 연속가공이 가능한 지그센터급 수평형 5축 가공시스템을 함께 개발할 계획이다.

기계연-두산공작기계 친선 축구대회

뿐만 아니라 양측의 협력은 현대위아, 화천 등 공작기계 분야 주요 기업이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과제 수행으로 성장하며 외연을 넓혀가고 있다.

기계연이 보유한 공작기계 관련 원천 기술과 한국정밀공학회를 비롯한 국내 산·학·연과의 열린 협력으로, 공작기계 분야의 새로운 ‘개방형 연구협력 모델’을 정착시켰다는 평가다.

기계연-두산공작기계 친선 축구대회 후 기념사진

기계연 박천홍 원장은 “기계연은 공작기계 분야뿐만 아니라 포스코(POSCO), 현대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등 국내 굴지의 기업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산업계 수요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과의 지속적인 상생 협력으로 국민이 필요로 하는 기술 개발을 위한 ‘열린 혁신’의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