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시장 권선택)는 24일 시청에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신속지진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현재 지역의 주요 시설에 설치된 지진가속도계측소 자료는 행정안전부를 통해 받고 있으나 전국 단위의 자료를 동시에 처리하다 보니 방재업무의 특성에 비해 다소 시간차가 있었다.
또 지진 관측 책임기관인 기상청이 지진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진도정보는 대전시의 지진가속도계측 자료를 사용하지 않아 정확하지 않았다.
이번 ‘신속지진대응체계’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신중호)의 지진조기경보기술을 적용해 대전지역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자료를 제공받아 실시간 감시체계를 가동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시는 양 기관 간 네트워크 연계 및 제반시설을 지원하고, 유지 관리하며, 수집된 지진 자료를 연구원에 실시간 제공한다. 연구원은 개발 중인 조기경보기술을 대전시에 우선 적용하고 기술자문을 지원한다.
이번에 도입되는 지진조기경보 기술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현장경보 체계가 강화된 하이브리드 지진조기경보 기술’로 지진 발생 통보중심(기상청)의 외부지향경보(Out-ward warning)방식과 달리 내부지향경보(In-ward warning) 방식을 활용해 시설물 방재를 목적으로 한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한 신속지진대응체계 구축으로 향후 피해 예측과 우선 대처 등이 용이해 재난발생 골든타임을 지킬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업무협약에 앞서 시는 작년 경주에서 발생한‘9.12지진’이후 ‘지진대응 종합대책’을 마련했으며,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지진발생 행동매뉴얼 정비, 지진대피소 정비 등 다양하고 실효성 높은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권선택 시장은“지역지진방재를 위해 신속지진대응체계를 마련하고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