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대, “일제강점기 공주 모습은?”
공주대, “일제강점기 공주 모습은?”
  • 조홍기 기자
  • 승인 2017.12.29 13: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酒幕談叢」,「구술로 듣는 일제강점기 공주의 거리」 발간

혹독한 시련의 시절 ‘일제강점기’, 이 당시 공주의 모습은 과연 어떠했을까?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는 「2017년 공주학 아카이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집된 기록물을 활용하고자 총서간행을 계획하고, 일제강점기 공주 사람들 일상의 모습과 기억을 찾아가는 2종의 총서를 발간했다.

왼쪽부터 「酒幕談叢」,「구술로 듣는 일제강점기 공주의 거리」

자료총서‘1910년대 일제의 비밀사찰기 「酒幕談叢」-공주를 주막에서 엿듣다’와 구술총서 ‘구술로 듣는 일제강점기 공주의 거리’이다.

「酒幕談叢」은 일제강점기 사복차림의 헌병 및 순사들이 주막이나 시장에서 민간인들의 서민의향이나 사회의 경향을 파악하고자 그들이 나누는 담화를 엿듣고 비밀리에 기록한 일종의 ‘염탐활동 보고서’이다.

인민들의 담화 내용에는 정치, 경제, 종교, 교육, 징세, 농상, 공업 등에 관한 사항과 그 외에도 여러 가지 뜬소문, 와전된 이야기, 풍문 등에 이르기까지 들은 그대로를 문식을 더하지 않고 수록했다.

이 책은 현재 국회도서관 희귀본 도서로 관리되고 있는 고서로서 총 3권이 현존하는데, 국회도서관의 협조를 받아 자료 사본을 수집하고 충남지역 중 공주의 내용만 선별해 번역하여 원문과 함께 번역문을 수록했다.

처음으로 발간된 이번 자료총서는 그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자료를 공주학 아카이브 구축사업을 통해 발견하고, 일반인들의 쉬운 이해를 돕고자 한글번역서로 출간하게 되어, 또 하나의 지역콘텐츠로서 활용할 귀중한 기록물을 제공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외에도 3년간 공주사람들의 기억을 수집한 구술내용을 토대로 ‘구술로 듣는 일제강점기 공주의 거리’를 구술총서 제 1집으로 발간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두 종의 총서 간행을 토대로 공주의 정체성 확립과 공주학의 토대 마련에 기여할 수 있는 원천자료의 수집을 더욱 확대할 수 있도록 공주학 아카이브 사업이 지속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