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형 동고동락(同苦同樂) 마을자치회’가 지역의 문제를 주민스스로 해결하는 주민주도 주민협의체를 본격 추진하게 됐다.
충남 논산시(시장 황명선)는 지난달 30일 ‘논산시 동고동락 마을자치회 설치 및 운영 조례’를 공포하고 민주적 절차를 통해 풀뿌리 주민 자치를 실현 할 ‘논산형 동고동락 마을자치회’를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기존 마을의 대표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민주적인 의사결정시스템 안에서 마을공동체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논산형 동고동락(同苦同樂) 마을자치회’의 핵심이다.
시는 마을자치회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마을자치회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마을 단위별 마을자치회 구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 456개소에 10~20명의 주민들로 구성된 마을자치회를 완성했다.

마을 자치역량 조사를 통해 마을 활동가를 발굴하고 자율모임을 통해 공동체가 스스로 일을 찾아 재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민이 주인 되는 살맛나는 동네자치를 구현하는 것이 마을자치회의 목표이며, 전통적인 리·통 마을 단위로 자치회가 조직되는 것은 이번이 전국 최초다.
아울러, 2017년 기준 주민세 5억 1천만 원 전액을 포함한 13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으며, 주민세 전액을 자치기구에 환원하는 것 또한 처음 있는 사례다.
시는 조례에 따라 주민 주도적 갈등조정과 동고동락 프로그램에 관한 주민의견수렴, 마을단위 공동육아와 평생교육 등에 마을의 모든 구성원들이 참여해 자발성, 자주성, 자율성을 확보하는 지방자치발전의 새로운 길을 제시함은 물론 주민이 헌법상 권리인 자치권을 직접 실현하는 첫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황명선 논산시장은 “마을이 곧 희망”이라며, “마을자치의 핵심은 주민이 스스로 마을의 중요한 일을 민주주의적 합의를 통해 결정하는 것이며, 주민자치는 시대적 사명이자 더 큰 대한민국으로 나아가는 새로운 길”이라고 말했다.
이어, “논산 지역특성에 맞는 다양한 자치공간 속에서 주민참여 및 자치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마을자치회를 활성화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4월 동고동락 마을자치회 아카데미를 시작으로 △마을자치회 주민역량강화 교육사업 △마을자치회 활동 지원을 위한 중간조직 양성사업 △마을자치회 활성화 지원사업 등 본격적으로 동고동락 마을자치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