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사업 선정 후 대전시 대응전략 마련’을 위한 토론회 개최
국책사업 선정의 연이은 실패로 고배를 마시고 있는 대전시에 국책사업 유치를 위한 전담기구 설치 및 장기적인 육성 로드맵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전시의회는 17일 오후 대전시청 3층 세미나실에서 강병주 한남대교수, 전병배 시의회 첨복특위위원자 등 관계전문가 7명이 참여한 가운데 ‘첨복단지 등 연이은 국책사업 유치실패에 따른 대전시의 대응전략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김선창 카이스트 바이오융합연구소장은 “대전시의 우수성을 돋보일 구체적 내용과 현실성이 결여 됐다”며 향후 첨단과학의 대전시 유치를 위해 “대전시 첨단과학기술 지도, 대전시 관계자의 노력, 중앙정부 기획·입안정책 입수, 공무원 및 연구자 양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병배 대전시의회 첨복특위위원장은 “향후 대전시가 추구해 나가야 할 신성장동력산업 육성하기 위해 강력한 의지표현과 효과적인 후속 육성의지가 필요하다” 며 “전담기구 신설로 장기적인 육성 로드맵이 있어야 한다” 고 주장했다.
금홍섭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그간 국책사업이 단 하나도 성공한 사례가 없다”며 “정부의 국책사업 추진방식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택구 대전시경제과학국장은 “국토균형 발전차원에서 수도권이 제외된 것 같다”며 “첨복단지에는 240여 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만큼 첨단의료산업분야의 지속 발전을 위해 사업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 끝났는데 무슨 토론회란 말이냐?
스스로 책임을 통감해야 할 놈들이 누가 잘못했다고 한단 말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