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하려는 단체장과 '입성'하려는 후보자들 간 치열한 물밑 경쟁으로
내년 6월 2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행정 공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우려는 지방선거를 8개월여 앞둔 현재, 자치단체의 단속업무 허술 및 단체장들의 치적사업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일부에서는 최근 자치단체 현안사업 및 불법행위 단속업무가 민원발생 우려로 보류되고 있어 선거를 의식한 조치라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실제로 대전시의 경우 올 상반기 단속한 불법현수막 중 0.6%만 과태료를 부과, 사실상 불법현수막에 대한 과태료 부과를 정지한 상태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선심성·치적사업 등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형 사업은 본격적인 선거가 시작되기 전인 올해 안으로 마무리할 것으로 알려져 졸속 추진의 위험성마저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일부 자치단체에서는 '수성'하려는 단체장과 '입성'하려는 후보자들 간 치열한 물밑 경쟁으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일부 자치단체에서는 특정 유력후보에게 '줄서기' 조짐이 일고 있으며, 선거가 가까워질 수록 이 같은 현상이 더 심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을 포착한 자치단체에서는 공무원 선거중립 위반을 엄벌하겠다고 선언하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선거를 앞둔 의례적인 엄포로 해석하고 있어, 양측의 입장차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 및 지역주민들은 철저한 감시와 단속을 촉구하고 있다. 한 시민단체는 자치단체의 선거용 선심행정에 대해 철저히 감시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아울러 지역 주민들 역시 단체장 후보가 난립하며 선거 줄서기가 난무하고 있는 점을 들어 선관위 등이 적극적으로 단속에 나서야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