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시의회, 빼앗긴 당진땅 찾기 ‘결사항전’ 천명
당진시의회, 빼앗긴 당진땅 찾기 ‘결사항전’ 천명
  • 최형순 기자
  • 승인 2019.12.12 23: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부두 매립지서 정례회 8차 본회의 개의, 당진땅 수호의지‘천명’

당진시의회가 17만 당진 시민의 당진 땅 수호에 대한 불사항쟁의 의지를 천명하고자 당진항 서부두 매립지 현장에서 '제67회 제2차 정례회 제8차 본회의'를 개의했다.

김기재 당진시의회 의장 /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김기재 당진시의회 의장 /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이날 현장에는 김기재 의장을 비롯한 시의원과 김홍장 당진시장, 어기구 국회의원, 김종식 당진땅수호 범시민대책위 공동위원장과 당진땅을 찾으려는 2천여 명의 당진시민·충남도민이 한파에도 불구하고 참석해 매립지 관할권 회복을 촉구하며 당진땅 사수를 위한 불굴의 의지를 드러냈다.

당진시의회 참석한 시의원을 비롯한 시민
당진시의회 참석한 시의원을 비롯한 시민

김기재 의장은 “우리가 분노와 투쟁의 촛불을 든 지 1,600일이 되고 헌법재판소 앞 1인 시위를 시작한지 1,200일이 되어가는 뜻깊은 오늘, 당진 땅 수호에 대한 불사항쟁의 의지를 천명하고자 바로 이 곳, 당진항 서부두 매립지 현장에서 본회의를 개의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역사적인 오늘을 계기로 17만 당진시민은 물론 220만 충남도민의 숙원이 풀릴 것을 확신한다”면서“사법부의 정의로운 판단이 하루 속히 내려지길 강력히 촉구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김홍장 당진시장과 이건호 부시장도 함께

아울러 “이 곳, 당진항 서부두 매립지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대중국무역항로의 중심지였고, 대대손손 이어져 내려온 당진 어민들의 삶의 터전인 당진 바다 위에 조성된 매립지”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이 곳은 논란의 여지가 필요 없는 명실상부한 당진 땅이며, 이미 지난 2004년에 헌법 재판소가 준엄한 판결로 이를 확인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당진땅수호 범시민대책위 공동위원장과 당진땅을 찾으려는 2천여 명의 당진시민·충남도민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2015년 당진항 매립지 평택 귀속결정은, 기존 경계를 무시한 처사이며, 실로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무책임하고, 전혀 이치에 맞지 않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당진항 서부두 매립지를 되찾는 일은 단순히 매립지 땅을 당진시의 관할로 둔다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당진 어민의 바다, 당진 시민의 바다, 충청남도민의 바다와 경계를 지키는 일이며,

당진시의원들은 "이곳은 당진땅"이라면서 차디찬 땅에 입맞춤하고 있다.
김기재 의장을 비롯한 당진시의원들은 "이곳은 당진땅"이라면서 차디찬 땅에 입맞춤하고 있다.

향후 건설될 연륙교를 바탕으로 매립지에 인접한 당진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당진항의 발전을 촉진시키고,

나아가 당진항을 중부권의 거점항에서 우리나라 대표 항만으로 성장시켜 우리 당진과 충남이 서해안 시대의 주역이 되는 단초가 될, 매우 중대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박종희 자치행정국장 경과보고

본회의에서는 상임위원장의 심의 안건에 대한 심사결과보고에 이어 상정된 조례안, 동의안 등 총 45건의 안건이 의결됐으며, 당진시의 당진항 매립지 관할권 대응에 대한 경과보고가 이어졌다.

당진시의회는 이날 채택한 ‘당진항 매립지 관할권 회복 촉구 결의안’을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행정안전부에 전달하여 당진시민과 충남도민들의 당진땅 수호 의지를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당진항 매립지 관할권 회복을 촉구하는 당진시의원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