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총리 11일 세종시 수정안 공식 발표
정부가 11일 9부2처2청의 행정부처 이전을 백지화하는 대신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을 유치해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를 건설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세종시 수정안을 발표했다.


이와 함께 고려대와 KAIST가 들어서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지정을 통해 가칭 세종국제과학원을 설립, 중이온가속기 등 첨단과학 연구시설이 갖춰진다.
정 총리는 "과거의 약속에 조금이라도 정치적 복선이 내재돼 있다면 뒤늦게나마 그것을 바로잡는 것이 나라를 생각하는 지도자의 용기 있는 결단 아니겠느냐"며 "세종시 건설은 정치적 신의 문제 이전에 막중한 국가 대사"라며 수정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정 총리는 이어 "당초 2030년이었던 완공시기를 2020년까지로 10년 앞당기고 일자리 25만개와 인구 50만명, 자족용지 비율 20.7%, 신재생 에너지 사용량 15% 등의 자족 녹색도시로 만들어 중부권 첨단 내륙벨트 거점은 물론, 미래 한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집중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시 수정안 발표에 따른 반응은 다양하다.
충남도는 "세종시 수정안 내용을 분석하고 도민의 여론을 수렴해 충청권지역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에서 정부에 보완 의견을 제시하겠다" 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원안추진을 주장하는 지역주민의 반발을 예상, 우려를 표했다. 도는 "원안추진을 주장하는 지역주민의 반발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역 주민의 상실감을 달랠 수 있는 정부의 설득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세종시 예정지인 충남 연기군은 큰 충격에 휩싸였다.

유 군수는 이어 "정부 스스로 국회 여야 합의와 헌재 합헌 결정 등 국민염원을 능멸하고 파기했다"며 "당초 계획에서 행정부처 이전만 제외한 수정안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천명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