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대전시와 대전복지재단, 대전도시철도공사, 하나카드, 메타빌드 등 컨소시엄을 이뤄 마이데이터 기반 장애인 이동지원 실증서비스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정부출연(연)-지자체-금융·데이터관리 전문기업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하는 이번 사업은 이동신청과 예약에서부터 승차 시 모바일 신원인증, 하차 시 결제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고 편의성을 높임으로써 장애인 이동권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데이터3법 개정에 따라 개인데이터의 수집과 활용, 제3자 제공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데이터이동권이 쉽고 편리하게 행사될 수 있도록 ▲열람·수집·활용·제공 동의 관리 ▲개인데이터 관리 ▲데이터 선별 공유 ▲데이터 이용내역 관리 ▲개인데이터 수집·저장·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마이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앞서 KISTI와 대전시 등은 지난 21일 착수회의를 갖고 본격적으로 개발에 돌입한 바 있다.
이후 KISTI 컨소시엄은 지난 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공모한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 지원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
총괄주관기관인 KISTI와 함께 메타빌드가 공동으로 마이데이터 플랫폼과 활용서비스를 개발하고, 대전시, 대전복지재단, 대전도시철도공사, 하나카드는 데이터보유기관으로 참여해 정보제공 주체인 개인의 동의 하에 장애인 정보, 교통데이터, 카드 이용자 정보, 결제 데이터 제공과 함께 본인인증과 결제처리 기능을 연계해 제공한다.
이번 실증서비스 사업의 핵심은 ‘마이데이터에 대한 자기결정권 강화’와 ‘데이터-교통수단-서비스 연결성 강화’로, 시민참여 활성화와 시민 체감형 맞춤형 서비스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KISTI 융합서비스센터 최희석 센터장은 “공공·민간이 보유한 데이터가 개인을 중심으로 쉽게 연결되고 활용될 수 있는 마이데이터 플랫폼과 서비스를 개발할 것”라며 “사업기간이 매우 짧아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발주기관인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및 본 사업 컨소시엄 참여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해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