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인권센터는 17일 도청에서 ‘충청남도 북한이탈 여성 인권 실태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연구용역 최종 보고를 한 여성정책개발원은이 5개 시·군 북한이탈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북한이탈 여성은 자녀 양육 문제, 북한이탈 주민에 대한 편견·차별, 가정폭력 및 직장 내 괴롭힘 등 다양한 인권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도 여성정책개발원은 인권 증진을 위해 신규 사업 20개, 기존 보완 사업 18개 등 12개 인권영역별 세부 정책 과제 총 38개를 도출했다.
신규 사업은 △북한이탈 여성의 자녀 국공립 어린이집·유치원 입소 1순위 자격 부여 △공립 각종 학교 대안학교 설립·운영 △동료 상담원 양성·파견 △대학생 자녀 기숙사 비용(기숙사 우선권) 혹은 월세비 지원 등 육아권, 교육권 보장 정책 과제 등을 제안했다.
또 △취업 북한이탈 여성 유·아동 자녀 돌봄 지원 확대 △사회적경제 부문 일자리 참여 지원 △북한이탈 여성 공공부문 취업 확대 조례 개정 △노동 인권 교육 강화 등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북한이탈 여성의 폭력 피해 지원 시설 접근성 강화 △북한이탈 주민 건강 실태조사 및 건강 증진 정책 수립 △한부모 북한이탈 여성 건강 보장 지원 △북한이탈 여성 인권 감수성 향상 교육 △북한이탈 여성 지원 기관 임직원 여성 인권 교육 등 각종 폭력으로부터 인권을 지킬 수 있도록 의식을 향상하고, 피해 지원도 강화한다.
자립 지원 영역에서는 △북한이탈 여성 역량 강화를 위한 자조모임 지원 △사회적응 향상 사업을 신규 사업으로 발굴했다.
이밖에 태아 정기검진 병원 동행 서비스, 영·유아 분윳값 지원, 협업 강화를 통한 일자리 연계 확대, 북한이탈 여성 정신적 트라우마 해소를 위한 정신건강 상담 및 프로그램 운영 등 기존 사업을 보완한 과제 18개도 내놨다.
도 인권센터는 이번 최종보고회 보고 내용과 토론 등 전문가 의견을 종합 검토한 뒤 이달 말 보고서를 발간할 계획이다.
도 인권센터 관계자는 “이번 최종보고회에서 전문가 자문 등 다양한 의견을 더해 지난 7개월 동안 진행한 연구용역의 완성도를 높일 것”이라며 “제안된 정책을 관련 부서에 전달하고, 도내 북한이탈 여성의 인권을 보호·증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