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동시장 악취저감장치 설치, 원도심 활성화 오!대전 프로젝트 등 다양한 성과 이뤄
생활 속 실험실이라는 뜻의 리빙랩은 실제 사회현장 문제를 과학기술을 이용해 해결하는 시도로 이미 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그중 3-Way 리빙랩 플랫폼을 기반으로 지역문제 해결과 삼방향 산학협력에 힘써 오고 있는 대전대학교 LINC+사업단은 더 나아가 국가경쟁력 발전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산학혁신체계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2017년부터 리빙랩 사업을 이어 오던 사업단은 지난해 3-Way리빙랩센터를 신설해 대학과 기업, 지역사회 등 세 주체가 협력해 사용자 중심·공동가치창출을 기반으로 대전대만의 차별화된 지역사회문제 발굴 및 해결로 지역사회 가치 창출을 이루는 역할로 3-Way 리빙랩 선도대학이라는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충청뉴스>는 계신웅 센터장을 만나 그 역할과 향후 전망, 그리고 대학-기업-지역사회 상생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편집자 주>
Q. 3-Way 리빙랩에 대해 소개해 달라.
A. 3-Way 리빙랩은 대학·기업·지역사회 리빙랩 참여의 세 주체가 협력해 사용자 중심(User driven), 사용자와의 공동가치창출(Co-creation)기반으로 지역사회문제 발굴 및 해결로 지역사회 가치 창출을 이루는 대전대만의 차별화된 리빙랩 수행방식이다. 대전대에서는 대학·기업·지역사회 3-Way 리빙랩 기반 산학협력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 그룹이 지역사회의 주인이기 때문에 리빙랩도 기획부터 제품 완성까지 사용자 그룹이 모두 관여하고 있다.
Q. 최근 3-Way 리빙랩 상표등록을 했다. 그 이유는.
A. 리빙랩 활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지속성이라고 생각한다. 앞서 말한대로 대전대 3-Way 리빙랩은 대학∙기업∙지역사회 세 주체가 리빙랩 활동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시행하고 있지 않지만 향후 3-Way 리빙랩 성과물이 쌓이면 그때는 대전대 3-Way 리빙랩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물에 3-Way 리빙랩 로고를 부착해 3-Way 리빙랩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보장하고 신뢰성을 가져 3-Way 리빙랩 로고를 통해 얻는 로얄티로 3-Way 리빙랩 프로젝트 관련 지속가능성 확보 및 자립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Q. 리빙랩과 관련된 활동의 주요 성과와 사례는.
A. 대전대에서 진행하고 있는 리빙랩 활동은 R&D 중심의 3-Way리빙랩 과제, 학과 중심의 리빙랩과 프로보노 활동, 기타 RCC 중심의 리빙랩 활동이 있다. 그 외에도 교과, 비교과 중심의 리빙랩 활동, 대학리빙랩네트워크 활동, 네덜란드 대학과의 글로벌 리빙랩 활동이 있다.
지금은 나아졌지만 초기에는 학내 리빙랩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았다. 그래서 리빙랩에 대한 내용을 학내 전파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지난 2017년 리빙랩네트워크 포럼을 시작으로 매년 리빙랩네트워크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2019년엔 대학리빙랩 인텐시브코스, 지난해엔 리빙랩퍼실리테이터, 디자인씽킹 과정 등을 운영했다. 리빙랩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술공급자, 기술사용자, 최종사용자의 원활한 소통 공간이 필요함을 느껴 3-Way 리빙랩 홈페이지를 개설·운영하고 있다.
지역사회 가치 창출을 위한 우수사례에 대해 몇가지 설명하자면 먼저 센서기반 오정동 농수산물 시장 문제해결 리빙랩이 있다. 오정동 농수산물 시장이 겪고 있는 다양한 생활불편 요소(소음·쓰레기·악취·주차장 협소 등)를 리빙랩 방식과 첨단 센서 기술의 적용·활용으로 문제를 해결한 사례로 대전대 및 가족회사 인프라(센서 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IT), 악취저감장치(환경))를 통해 오정동 농수산물시장의 악취를 절감 시키는 리빙랩 활동을 진행했고 감사하게도 오정동 농수산물 시장 관리 리빙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간한 리빙랩길잡이 책자에 우수사례로 소개됐다.
또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캡스톤디자인 오!대전 프로젝트를 5년째 진행하고 있으며 창업학부 UX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통한 모바일 앱 개발, 창업동아리 활동을 통한 문화 관광 컨텐츠 잡지 ‘중앙시장’ 발간,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과 원도심 브랜드 개발 및 대전 근대문화탐방로 문화 컨테츠 개발 등 대전 원도심 경제 활성화를 위해 3-Way 리빙랩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해 지역 경제활성화 및 원도심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올해 진행한 오!대전 프로젝트 결과물은 제29 대전디자인공모전에서 영예의 대상을 수상했다.
환경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3-Way 리빙랩 아토피 RCC의 경우 대전대와 함께하는 아토피 스쿨을 3차례 진행했으며 아토피 이환율 감소를 위해 아토피에 민감한 취역 계층을 대상으로 아토피 질환 유발 환경 요인의 저감 및 관리 강화를 시행하고, 3-Way 리빙랩플랫폼 지역연계센터(RCC) 구축∙추진 모델을 개발했다. 아토피 질환이 있는 당사자와 그 가족들을 통틀어서 아토피안이라고 하는데, 대전지역의 아토피안들의 관심과 참여를 제고했다.
가족회사인 엔버스 아두이노 제품 설치(아토피 연계한 실내 공기질 측정기로 공기질 모니터링)와 필레코리아에서 개발한 한방바이오 아토피 케어 보습 개발 제품(클린저, 미스트, 크림)으로 아토피 환자 치료 및 피드백을 통한 제품 개선했다. 피부 가려움증이 있던 학교 졸업생이 이 제품을 사용해 가려움증이 많이 개선됐다고 찾아왔을 때 ‘리빙랩 하길 잘 했구나’ 생각했다. 현재 이 제품은 S-A 피부과에서 사용하고 있다.
3D 프린팅을 활용한 시각장애인 교구재 개발 리빙랩은 대전맹학교 시각 장애인 수업을 위한 3D 프린팅 교구 보조재 제작의 필요성이 제기돼 대전대, 가족기업인 LI Networks, 대전맹학교 간 3-Way 리빙랩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리빙랩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된 사례다.
대전대 3-Way 리빙랩 플랫폼, LI Networks 3D 프린팅 기술, 따뜻한 기술 리빙랩 시민 참여단, 대덕연구단지 인프라를 활용해 대전맹학교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교구재를 개발했다.
대전맹학교 졸업생 대상으로 학생 각각의 형상이 각인된 3D 졸업 앨범을 제작해 전달했다. 사용자 주체이자 테스트베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대전맹학교 학생들을 위한 활동으로는 대전맹학교 학생들에게 합창 및 난타 교육 지도, 대전맹학교 학생들 대상 3D 프린팅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대전대에는 약 1900개의 가족회사들이 있고, 그 중에는 시각장애인 관련 제품을 만드는 회사들도 여럿 있다. 시작은 LI Networks와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가족회사들이 참여하기 시작했고, 지난해 이러한 가족회사들과 시각장애인 특수 교육의 중요성과 현실에 대한 논의 및 기업과 대학 그리고 지역사회가 연계해 이에 대한 해결책을 고민하는 시각장애인 특수교육 3-Way 리빙랩 컨퍼런스 개최했다. 올해는 시각장애인 뿐 아니라, 청각장애인 및 지체장애인을 포함하는 배리어프리 리빙랩 컨퍼런스를 진행했다.
그 외에도 대전지역산업단지 악취문제 리빙랩 연구, 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금산대표 건강식품 개발 리빙랩, 민들레의료협동조합 대상 건강운동반, 커뮤니티케어 과정, 지역사회 뉴실버세대 웰에이징 특화 프로젝트, 지역문화 활성화 프로젝트, 세대 연계 전통주 제조 비교과 도제 프로젝트 등 리빙랩 관련 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며, 지역문제 해결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Q. 리빙랩 프로젝트를 하면서 어려웠던 점이 있나.
오정동농수산물시장관리 리빙랩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리빙랩 개발자와 시민 사용자 그룹간의 소통이 쉽지 않았던 것 같다. 개발자들은 개발자만이 알 수 있는 언어로만 이야기하고 있어 그 내용이 제대로 전달이 안 되는 것 같았다. 그리고 경청하는 것도 쉽지 않았던 것 같다.
리빙랩 개발자 언어도 이해하고, 시민 사용자 그룹의 요청 사항을 정리하여 전달 할 수 있는 역할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그 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는 사람들(퍼실리테이터)을 길러내야겠다고 생각하게 됐다.
또 한편으로는 학내 교수님들에게도 리빙랩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올해도 교직원과 재학생 각각을 위한 퍼실리테이터 양성과정을 기획 운영하고 있다.
우리 학교가 추구하는 3-Way 리빙랩은 기업의 참여가 필요하고 기업의 참여를 위해서는 3-Way 리빙랩을 통해 세 참여의 주체가 모두 윈(win)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세 주체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해야 하는데, 이것은 여전히 저희가 다양한 가능성들을 놓고 실험하고 있는 과제다.
Q. 향후 3-Way 리빙랩센터의 계획은? 리빙랩 관련 꿈이 있다면.
리빙랩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진정성과 지속성을 담보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학·기업·지역사회 세 주체 당사자에게 3-Way 리빙랩은 어떤 점이 좋기 때문에 해야 하는 당위성을 진정성 있게 보여줘 설득하고, 세 주체 모두가 역동적으로 참여할 때 지속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다.
특히 많은 기업이 참여해 정말 좋은 것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들이 스스로 리빙랩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위와 같은 일을 할 수 있는 것이 네트워킹이라고 생각한다. 리빙랩 관심 대학, 네덜란드 대학 등 글로벌, 지역 리빙랩 관여자, 가족회사, 지역사회, 학과 교수, 학생들과의 네트워킹, 그런 역할을 하는 것이 리빙랩 코디네이터라고 생각하고, 저 역시 부족하지만 리빙랩 코디네이터 역할을 담당하고, 이 자리를 빌어 3-Way리빙랩센터와 늘 함께 해 주시는 총장님, LINC+사업단 산학부총장님, 부단장님, 교수님, 직원선생님 포함한 많은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자 한다.
한편 대전대는 지난 7일부터 정시 원서접수를 진행하고 있다. 기한은 11일 오후 7시까지며 자세한 입학문의는 전화(042-280-2800)를 통해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