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미래유망기술 제시한 이슈브리프 발간
KISTI, 미래유망기술 제시한 이슈브리프 발간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1.01.25 14: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ISTI 이슈브리프 제29호
ISTI 이슈브리프 제29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코로나19 이후 핵심 유망기술을 발굴제시한 미래유망기술세미나 2020을 이슈브리프 29호에서 소개했다.

이슈브리프에 따르면 미래 고성장 과학기술 100선과 7대 이슈 선정에는 최적의 딥러닝 예측 모형을 이용했으며, 이를 통해 100대 미래 고성장 과학기술영역(클러스터)을 선정했다.

최근 14년 간 전 세계에서 출판된 과학기술 논문 약 2000만 건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했고 문헌 인용관계 분석으로 약 4500개의 유사 기술군을 생성하여 딥러닝 예측모형으로 7년 뒤의 고성장 기술군을 도출했다.

미래 고성장 과학기술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시대에서 요구되는 예측기술들로 지구에 대한 이해와 공존을 지향하는 연구영역들이 유망한 것으로 분석됐다.

도출된 100선의 과학기술영역별로 KISTI 연구진이 이슈키워드를 도출했으며, 각 이슈키워드의 동시발생 분포 등을 통하여 7대 이슈를 도출했다.

인간의 삶의 터전인 지구에 대한 이해와 공존을 지향하는 연구영역들이 부상하는 것으로 관측됐다.

포스트코로나 대응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창출 유망사업 아이템현황은 주목해야 할 10대 기술사업기회로 ▲접촉자 추적 시스템(Contact tracing system)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 ▲서비스 로봇(Service robot) ▲바이오보안(Biosecurity) ▲무인운반차(Automated guided vehicle) ▲현장진단기기(Point-of-care testing device) ▲전자회의 시스템(Electronic meeting system) ▲클라우드 데이터 저장장치(Cloud storage) ▲디지털 교육 플랫폼(Digital learning platform)를 꼽았다.

또 뉴노멀 사회에서 비대면 생활패턴의 증가, 온라인 교육의 확대, 재택근무에 따른 스마트 일터 혁신, 디지털 헬스케어 증대, 스마트 바이오 응용분야 증가, 디지털 보안 기술 등은 앞으로 언텍트 시대 글로벌 시장에서 각광받을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봤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정부 R&D투자분야 및 전략으론 미래 친환경형 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 고기능 무인기, 인공지능, 시스템 반도체, 정밀의료, 스마트팜, 지능형로봇, 스마트시티 등의 분야에서의 핵심 기술들을 선정했다.

KISTI 조금원 원장직무대행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 기술혁신과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의 촉매제가 될 미래 유망기술이 각 산업 분야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