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창업 지원기관인 ‘K-바이오 랩세트럴’ 대전 유치를 위한 움직임에 속도가 붙고 있다.
대전시는 3일 지역 국회의원과 함께 여의도에서 ‘성공적인 ‘K-바이오 랩세트럴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토론회를 개최했다.
KAIST 이광형 총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한 토론회는 K-바이오 랩세트럴 대전 유치의 중지를 모으고, 국가 바이오산업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K-바이오 랩센트럴은 실험시설, 사무공간, 네트워킹 등을 제공해 바이오분야 벤처・스타트업을 육성하는 사업으로 이 달 중 중소벤처기업부에서 후보지 선정을 위한 공모가 있을 예정이다.
토론에서 발제자인 김종갑 본투글로벌 센터장은 ‘2세대 바이오클러스터 선도국가’라는 주제로 대전을 중심으로 한 국가 바이오산업 전략에 대하여 발표했다.
맹필재 바이오헬스케어협회장은‘대전-바이오 스타트업의 요람’이란 주제 발표에서 “대전은 성공한 다수의 벤처기업들이 후배 벤처를 끌어주는 독특한 커뮤니티가 형성된 지역으로 세계적인 스타트업 요람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다”며 “벤처스타트업을 창업하고 육성하는 랩센트럴의 본래 취지에 맞는 유일한 지역이 대전”이라고 강조했다.
김명수 대전시 과학부시장은‘대전바이오산업 혁신성장 전략’이라는 주제로 대전바이오 클로스터의 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향후 성장전략과 랩센트럴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김 부시장은 “대전이 갖고 있는 뛰어난 경쟁력과 잠재력을 랩센트럴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로 나타낼 것”이라며“지역역량을 총 결집하고자 대전시는 지난 달 21일 추진협의회를 구성, 출범식을 개최했으며 본격적인 유치활동에 매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3인의 주제발표에 이어 좌장인 KAIST 이광형 총장의 진행으로 김장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윤환중 충남대학교병원장, 서준범 서울아산병원 교수, 박한오 바이오니아, 황운하 국회의원의 자유토론이 이루어졌다.
김장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은 바이오산업의 특성상 정보통신(IT), 나노,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분야의 활발한 융복합이 필요함을 들어 “연구개발 성과와 전문인력, 성공적인 바이오창업 경험이 풍부한 곳이 랩센트럴의 최적지”임을 강조했다.
윤환중 충남대학교 병원장은 “대전은 2019년 중기부로부터 전국 유일의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어 인체유래물은행 공동운영체계를 구축하였고 병원체자원 공용연구시설도 건립하고 있어 향후 바이오 랩센트럴과의 시너지효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 아산병원 서준범 교수는“의료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활용과 창업에 대해서도 랩센트럴이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동영상 축사를 통해 “대전시는 지난해 이미‘한국형 랩센트럴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을 마련했고,‘바이오산업 육성에 대한 2030 비전’을 발표했다”면서 “대전을 대한민국 바이오 혁신성장의 허브이자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는 전초기지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