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함께 해양 방사선 감시망 구축에 나선다.
원자력연은 4일 KIOST와 협업을 통해 방사선 무인 자동 감시시스템을 개발해 성능 검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감시시스템은 원자력연이 개발한 해상 이동형 방사선 센서를 KIOST가 개발한 무인 자동 로봇에 탑재해 완성됐다.
배 모양 로봇이 넓은 해상을 스스로 탐색하며 방사능 오염원을 탐지하게 되는데, 부표 등을 이용한 기존 고정식 해양 감시 장비와 달리 이번에 개발한 장비는 넓은 해역을 이동하며 능동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연구진이 최종 목표로 하는 감시 시스템을 실제 구축할 경우, 우리 바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유사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원자력연 원자력환경실에서 개발한 해상 이동형 방사선 센서는 기존의 방사선 센서보다 무게는 4분의 1로, 부피는 3분의 1로 줄었다. 약 560 g의 무게에 손바닥보다도 작아 이동성이 뛰어나다.
지금까지는 해상에서의 통신과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방사선 센서를 주로 연안에 설치해 왔지만, 이번 센서는 저전력 신호처리 및 무선통신기법을 적용해 자체 배터리만으로도 24시간 이상 운용이 가능해 상시 전력 공급 및 통신에 문제가 생겨도 활동에 제약이 없다.
KIOST 해양ICT융합연구센터에서 개발한 배 모양의 무인로봇은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조종하거나 사전 입력한 좌표를 따라 스스로 이동할 수 있다. 최대 4시간, 최대 시속 16 km/h로 이동하며 8km 떨어진 거리까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차후 배터리 용량을 늘리고, 위성통신으로 먼바다에서도 제약 없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장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 9월엔 성능 검증 실험을 통해 로봇 스스로 이동해 3m 떨어진 방사능 오염원을 탐지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를 주도한 장미·이민선 박사는 “원자력연구원과 해양과학기술원이 공동 개발한 해양방사선 무인 자동 감시시스템은 우리 바다의 평상시 환경방사선 데이터를 확보하고 비상 사고 시 해양방사선 광역 감시망 구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