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얇은 두께와 넓은 인식 범위를 지닌 지문센서를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전자부품제조기업 클랩(CLAP)과 고성능 지무인식 센서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문인식은 주로 손에 빛을 쏘면 지문 굴곡으로 인해 달라지는 음영을 센서로 수집해 이미지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기존에는 광센서를 만드는 데 주로 실리콘을 사용했지만 연구진은 비스플루로페닐 아자이드(Bis(Fluorophenyl azide))라는 물질을 도핑한 유기물을 사용했다.
유기물은 실리콘보다 광 흡수능력이 크기 때문에 실리콘보다 작은 두께로도 광센서를 만들 수 있다. 또 실리콘은 흡수할 수 있는 빛을 파장대별로 구별하기 위해서 컬러 필터를 추가해야 하지만 유기물은 그러할 필요가 없다.
덕분에 두께를 대폭 줄이면서 센서 모듈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자 간섭도 줄일 수 있어 필름형 지문센서 제작에 유리하다.
이와 함께 몰리브덴 산화물·금·몰리브덴 산화물로 구성된 3중층 상부전극을 개발해 빛을 위에서 받는 형태로 광센서를 만들었다. 빛을 아래서 받는 기존 방식보다 두께를 줄이고 빛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든 셈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화면 일부만이 아닌 전면에서 지문인식 기능을 부여하는 등 다양한 활용도 가능하다.
특히 이미 기존에 널리 쓰이는 제조공정을 사용해 제작할 수 있어 빠른 양산이 이뤄질 수 있다는 평가다.
ETRI 박영삼 책임연구원은 “휴대폰, 노트북, ATM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 적용돼 국민들이 쉽고 안전한 인증을 이룰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