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골조직 재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가 소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차의과학대 한동근 교수 연구팀이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손상된 골조직이 재생되려면 일정 기간 구조를 유지하며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돕기 위한 지지체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는 이식 후 주변 조직의 산성도를 낮춰 산성화된 조직의 염증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 숙제로 남아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조직재생을 촉진할 수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를 개발함으로써 손상된 골조직의 재생효능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세웠다.
연구팀은 연어의 생식세포에서 추출한 DNA 단편혼합물 PDRN과 골형성 단백질 BMP2를 조직재생 촉진 생리활성물질로 채택했다.
또 송아지 뼈에서 추출한 세포외기질을 통해 실제 골조직 환경을 모방하는 한편 수산화마그네슘을 첨가해 고분자 분해산물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자 했다.
수산화마그네슘은 무독성 세라믹 입자로, 지지체로 사용된 생분해성 고분자의 산성 분해산물을 중화시켜 주변 조직의 염증이나 괴사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 두개골에 4mm 결손을 발생시킨 쥐에 이같은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한 생분해성 지지체를 이식하고 8주 후, 새롭게 형성된 골 조직의 부피가 기존 지지체 대비 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 관계자는 “염증반응은 20배 가량 감소했고 재생된 혈관 수 및 부피가 정상 쥐와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됐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