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인체 조직 내 여러 깊이에 존재하는 신경세포들에 가까이 다가가 신호를 기록하고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해 길이가 서로 다른 신경전극 다발로 만든 마이크로니들이 소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임매순·이병철 박사 연구팀이 다양한 길이의 미세전극이 촘촘히 배열된 마이크로니들을 제작할 수 있는 단순한 반도체 공정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길이가 다른 신경전극을 각각 따로 제작하는 번거로움 없이 원하는 길이 배열 정보를 담은 포토마스크 디자인을 이용해 다양한 길이의 신경전극 다발을 한 번에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신경전극은 말단 단면 폭이 145nm 이하일만큼 끝이 뾰족하고 종횡비를 높여 목표하는 신경 층에 정확히 위치하면서도 삽입 시 조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실제 제작된 마이크로니들은 기존 연구 대비 100배 가량 작은 힘으로도 생쥐 뇌에 삽입될 수 있었다. 이는 애벌레 가시털이 생쥐 피부를 뚫는 힘과 비슷한 정도이다.
특히 단위면적당 625개까지 미세전극을 아주 촘촘히 배열함으로써 신경신호를 대량으로 읽어낼 수 있다.
노현희 학생연구원은 “실명한 동물 안구 내에 소자를 이식하고 망막을 전기적으로 자극해 인공 시각을 구현하는 전자약 실험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