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마다 다른 대장암 면역치료반응 원인 밝혀졌다
사람마다 다른 대장암 면역치료반응 원인 밝혀졌다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1.12.27 0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연구재단, 서울대 김정호·연세대 김상우 교수 연구팀 연구 소개
국문자료 삽입그림
대장암(현미부수체 불안정성 대장암) 분류 제안 모식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대장암 면역치료에 대한 반응이 사람마다 다른 원인이 밝혀졌다.

한국연구재단은 서울대 김정호, 연세대 김상우 교수 공동연구팀이 특정 종류의 대장암에서 실제 면역치료반응이 다양한 것을 확인하고, 그 차이의 원인을 찾아냈다고 27일 밝혔다.

가장 잘 알려진 대장암 면역항암치료의 반응지표는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이다.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이 있으면 암세포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매우 많아져 면역반응이 강하게 일어나는 만큼 면역항암치료의 반응 또한 좋다.

그러나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이 있음에도 면역항암치료의 효과가 나쁜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원인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김정호 교수 연구팀은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대장암 조직 73례를 수집하고, 면역조직화학염색과 디지털 이미지 분석기법 등을 통해 종양의 면역미세환경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예상과 다르게 이들 대장암의 면역반응 정도가 매우 다양하며, 일부는 매우 낮은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김상우 교수 연구팀은 면역반응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의 유전자 특성을 찾아내기 위하여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NGS)를 이용한 생명정보학 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대장암의 특징으로 알려진 돌연변이 수는 면역반응과 관계가 없음을 알아냈다. 기존의 예상을 완전히 벗어난 결론이 나온 것.

특히 점액성 같은 종양의 조직학적 유형과 종양유전자 KRAS의 돌연변이 여부,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신호전달경로(Wnt 및 Notch)의 활성화 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대장암을 새롭게 분류하고 치료표적이 될 수 있는 혈관신생 관련 분자와 면역관련 분자 등을 도출했다.

김정호 교수는 “현재 임상적으로 활용되는 표지자들의 한계를 알게 된 만큼 앞으로 찾아낸 복합 지표를 이용해 면역항암치료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