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스마트농업 이슈 및 대응 방안 제시
KISTI, 스마트농업 이슈 및 대응 방안 제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1.11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ISTI 이슈브리프 제40호 / KISTI 제공
KISTI 이슈브리프 제40호 / KISTI 제공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국가안보 차원에서 식량 자주권 확보를 위해 주목받는 스마트농업 주요 이슈와 이에 대한 대응 방안 등을 제시한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했다고 11일 밝혔다.

이슈브리프에 따르면 스마트농업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매우 높으나 시장의 성장을 위해서는 광범위한 데이터 확보, 표준화, 데이터 분석, 사용자 인식전환, 정부의 투자, 생태계 조성 등 다양한 문제들이 해결돼야 한다.

식량 수요의 꾸준한 증가와 스마트농업의 중요성을 인식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 개발도상국의 거대한 미개척 시장, 스마트농업 관련 기자재와 연계 기술 발전으로 낮아진 사용장벽 등이 시장 성장의 동인 및 기회 요인이다.

다만 영농현장에서 스마트농업의 효용에 비해 높은 비용 및 표준화 문제로 낮은 관심도와 스마트농업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 부족이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농업에 대한 사용자 인식 제고, 데이터 분석의 신뢰도 제고가 시장 성장을 위한 도전적 요인이다.

스마트농업은 데이터(생육, 환경, 기상 등), 데이터 분석, 사업화 지원 플랫폼 등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어 있어 산학연과 연구 협력을 통해 미래농업 생태계 구현 및 사업화 성공 가능성 제고가 필요하다.

KISTI는 데이터가 기반이 되는 미래농업의 주요 이슈를 발굴하고, 공공 부문의 참여를 통해 데이터 기반 스마트농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관련 융합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시작하는 다학제 융합클러스터 사업을 토대로 국가 차원의 지능형 스마트농업 생태계 및 의사결정시스템 구축을 통해 디지털화된 현장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KISTI 김재수 원장은 “KISTI에서도 그간의 경험과 자원을 기반으로 농업과 데이터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농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