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쉽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반도체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리스크파이브(RISK-V) 기반 반도체 칩을 쉽고 빠르게 설계할 수 있는 플랫폼 ‘리스크파이브 익스프레스’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현재 IoT·웨어러블 반도체 칩 시장의 약 90%는 ARM사(社)의 CPU를 사용하고 있다.
해당 CPU를 사용하는 경우 설계 수정이 거의 불가능하고 로열티 부담도 있어 리스크파이브 기반 칩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리스크파이브는 시스템반도체 설계에 필수적인 CPU구조와 설계 자산 등이 오픈소스로 공개돼 있어 라이선스 비용 없이 자유롭게 구조 변경 및 설계가 가능해 자체적으로 반도체 칩을 개발·판매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 개발 노하우가 충분치 않은 중소 팹리스 업체나 스타트업 등의 경우 오픈소스 검증, 설계 플랫폼 구축, 긴 개발 기간 등 높은 진입장벽으로 여전히 칩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ETRI가 개발한 플랫폼을 이용할 경우 목표 성능에 적합한 IP를 선택한 후 설계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반도체 설계가 가능하다.
특히 IoT·웨어러블 분야에 특화된 초저전력 기술이 적용돼 있어 활용성이 높은데, 온도역전현상으로 전력 소모를 약 35%까지 절감할 수 있다.
이밖에 ETRI는 본 플랫폼을 대학 교육에 활용함으로써 미래 반도체 인력 양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중앙대와 경희대 학부 과정에 200여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반도체 설계 교육에 RVX를 적용, 반도체를 직접 설계해보는 기회를 제공했다.
교육을 이수한 학부생들은 제22회 대한민국 반도체 설계대전에서 장관상 수상 및 국제 논문 발표 등으로 RVX 플랫폼을 활용해 쉽고 빠르게 반도체를 설계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향후 연구진은 장비 국산화를 위한 반도체 설계기술 고도화 및 인체통신·인공지능 가속기 등을 결합해 지능형 엣지 반도체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방침이다.
ETRI 지능형반도체연구본부 이재진 책임연구원은 “RISC-V 기반 시스템반도체 개발의 진입장벽을 낮춤으로써 국내 RISC-V 기술 확산 및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기 위한 해답으로 RISC-V eXpress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