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한의학연구원이 세포 기반 코로나바이러스 중합효소 저해제 고효율 스크리닝 플랫폼을 자체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한의학연은 이를 활용해 천연물 유래 코로나바이러스 중합효소를 억제하는 효능 물질을 발굴했다.
한의학연 감염질환 연구팀은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세포기반 코로나바이러스 중합효소 활성도 측정 리포터 어세이 개발에 성공했고, 코로나 중합효소 저해제 후보물질 고효율 스크리닝 적용이 가능함을 입증했다.
이는 기존 무세포 시스템 대비 세포 내 바이러스 유전체 복제환경에서 코로나 중합효소의 활성을 리포터 루시페아라제 발현량을 측정해 유전체 자가복제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 효능물질의 효력을 정략 분석할 수 있다.
특히 FDA 승인 코로나19 치료제인 렘데시비르의 효력과 비교하면 임상성공 가능성이 높은 신·변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치료 후보물질 도출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자체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한약재 석산(石蒜)에서 유래한 라이코린(Lycorine)이 비뉴클레오시드(non-nucleoside) 코로나바이러스 중합효소 저해제로 작용하는 것을 밝혔다.
연구팀은 라이코린의 코로나바이러스 중합효소 억제 효력을 측정함으로써 렘데시비르 대비 우수한 효능을 확인했다.
MERS-CoV 중합효소 대상 실험에선 약 4.5배의 차이를 보였고 SARS-CoV-2 중합효소 대상 실험에서는 약 1.8배 더 우수한 결과를 확인했다.
라이코린은 신·변종 코로나바이러스인 MERS-CoV, SARS-CoV, SARS-CoV-2 세포감염 실험에서도, 렘데시비르보다 우월한 광범위 항코로나바이러스 효력을 보였다.
‘in silico docking assay’를 활용해 측정된 SARS-CoV-2 중합효소와 라이코린의 결합력을 렘데시비르와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바이러스 RNA 복제를 저해하는 수소결합의 도킹스코어가 -6.2kcal/mol로 측정돼 렘데시비르(–4.7kcal/mol) 보다 강력한 결합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이번 연구는 아직 비임상효력시험 수준까지 연구가 진행된 상태로 향후 임상시험 진입을 위한 독성시험 등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다는 게 연구진 설명이다.
연구책임자 권선오 박사는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신·변종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치료 한의 임상기술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인프라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진용 원장은 “신·변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임상에 활용 가능성이 큰 한의 치료제 후보물질의 잠재적 가치를 발굴할 수 있는 스크리닝 플랫폼을 구축해낸 모범사례”라며 “앞으로도 국민에게 필요한 연구를 수행하며 국민의 건강한 삶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