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오미크론 등 변종 코로나에 효과 뛰어난 항체 개발
KAIST, 오미크론 등 변종 코로나에 효과 뛰어난 항체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2.04 10: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범용성 코로나 중화항체 개발...치료 물질 개발 속도 '기대'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현재 유행 중인 오미크론 변이를 포함한 모든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에 효과가 뛰어난 항체를 개발했다. 향후 출현할 수 있는 신·변종 코로나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치료 물질 개발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계산적 단백질 디자인 기법을 이용한 항원 특정 부위를 인식하는 항체 발굴 개념도
계산적 단백질 디자인 기법을 이용한 항원 특정 부위를 인식하는 항체 발굴 개념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연구팀이 계산적 항체 디자인을 통한 코로나19 중화항체(세포 방어 치료용 항체)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코로나19 감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알려진 ‘SARS-CoV-2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당단백질 부위에 있는 수용체 결합 부위(이하 항원)를 인간 세포막에 붙어있는 ‘hACE2’ 수용체에 결합시켜 세포 내로 침입하는 기전을 보인다.

세계 유수 제약회사들은 이런 기전에 착안해 수용체 결합 부위에 붙는 중화항체 ‘에테세비맙’, ‘밤라니비맙’ 등을 개발했다.

그러나 이 항체들은 최초 발생된 코로나바이러스에는 효과적이지만 알파나 베타, 델타 등 변이에는 중화능이 없거나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됐다.

연구진이 계산적 단백질 디자인 방법으로 개발한 이번 항체는 오미크론 등 SARS-CoV-2의 모든 변이 바이러스 뿐 아니라 SARS-CoV-1, 천갑산 코로나 바이러스에도 강력한 결합력을 보였으며 우수한 중화 능력 지표도 확인했다.

오병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계산적 항체 디자인 방법은 실험적으로는 얻기 어려운 항체를 개발하는데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ˮ고 전망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