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김준공, 부산대 최정모 교수 연구팀, 아밀로이드 베타 독성 완화 성공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알츠하이머 치료의 새로운 접근법이 제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김준곤 교수와 부산대 최정모 교수 연구팀이 알츠하이머를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베타의 초기 상호작용을 방해해 단백질 응집체 형성을 억제하고 세포 독성을 완화하는 점 변이체를 설계했다고 밝혔다.
기존 알츠하이머 치료는 주로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대증요법 중심으로 진행돼 왔다. 최근에는 좀 더 근본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아밀로이드 베타 섬유 응집체와 타우 단백질 신경섬유 엉킴을 표적으로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구팀은 아밀로이드 베타가 응집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점을 고려해 특정 상태를 표적으로 하지 않고 단백질의 점 변이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병원성 응집체 형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시도했다.
그 결과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 과정에서 초기 상호작용의 핵심이 되는 단백질 영역을 규명하고, 단백질 상호작용을 저해할 수 있는 변이체를 설계하여 실제 응집체 형성이 억제되고 세포 독성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에서 설계된 변이체가 아밀로이드 베타의 독성을 완화한다는 사실을 세포 수준에서도 확인했다”면서도 “실제 임상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고차원 실험 모델에서의 효과 및 안정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