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 쉽고 다수 인원 한번에 검사 가능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가글이 국내 산학연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는 바이오화학분석팀 권요셉 박사 연구팀이 연구소기업 ㈜바이오쓰리에스·전북대병원과 코로나19 조기 진단 가글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그간 코로나19 진단을 위한 표준검사법으로 비인두도말-PCR(NPS-PCR)이 우선적으로 사용돼 왔다. 그러나 시료채취부터 결과까지 의료진의 손을 거쳐야 해 바이러스 확산세가 높은 상황에선 한계가 있었다.
최근 오미크론 변이의 폭증으로 새로 도입된 검사체계에선 신속항원 진단키트 활용이 시작됐으나 피검자의 고통과 불쾌감, 비용부담, 민감도 향상 등 숙제를 안고 있었다.
이번에 개발한 가글은 사용이 쉽고 다수를 한번에 검사하거나 개인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러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구강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냥 침을 뱉어서는 바이러스가 구강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아 타액을 통한 검사의 정확도에 의문이 있었다.
개발된 가글은 구강에서 코로나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떨어뜨리고 중화할 수 어, 임상시험을 통해 검증·개발함에 따라 국가 방역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임상시험은 전북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달식 교수팀이 주도해 전북대병원, 군산의료원, 남원의료원에서 수행했으며 그 결과, 코로나 감염 후 6일 이내 감염자의 증상유무와 관계없이 타액항원 진단키트의 민감도가 97.8%에 달하는 임상수행 결과를 확보했다.
가글은 안전성평가연구소에서 호흡기 독성평가를 수행했으며 ㈜바이오쓰리에스를 통해 의료기기 제품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KBSI 신형식 원장은 “연구원에서 개발한 원천기술이 사회에 환원되는 좋은 사례라고 생각하며, 현재 코로나바이러스 방역에 힘쓰고 있는 곳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개발에 더욱 힘을 쓰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