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오염물 제거 효과 뛰어난 압전 나노촉매 소개
한국연구재단, 오염물 제거 효과 뛰어난 압전 나노촉매 소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3.24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물의 흐름에 의해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압전촉매 기술의 개념도
물의 흐름에 의해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압전촉매 기술의 개념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우리 주변에서 발생하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해 공기나 물에 있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고성능 압전 촉매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서울과학기술대 신소재공학과 이영인 교수 연구팀이 환경정화용 압전촉매로 표면에 산소 결함이 형성된 ‘타이타늄산바륨(barium titanate, BaTiO3) 나노입자 소재’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압전 촉매란 재료의 변형 상태에서 분극에 의해 유도된 압전 전위를 이용해 표면에서 전기화학반응이 가능한 소재며 타이타늄산바륨 강유전성과 압전성을 나타내는 무기화합물이다.

압전 촉매는 주변에 버려지는 다양한 기계적 에너지를 받아들여 전기화학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점이 있으나, 물 흐름과 같이 적은 에너지 수준에서는 낮은 촉매 특성을 나타내 초음파와 같이 높은 에너지를 일부러 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제어된 양의 산소 결함을 도입한 표면과 우수한 결정성의 중심부로 구성된 ‘검은색 타이타늄산바륨 나노 입자’를 설계, 합성했다.

나노 입자 중심부의 우수한 결정성은 촉매 작용에 참여하는 전자에 높은 에너지를 부여하며, 표면에 형성된 산소 결함은 촉매 반응에 참여하는 전자의 농도를 크게 증가시킨다.

또 개발한 검은색 타이타늄산바륨 나노 입자는 물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적은 에너지만으로도 압전 촉매 반응을 유도하여 비스페놀 A(내분비 교란물질)와 로다민 B(독성을 가진 염료) 등으로 오염된 물을 성공적으로 정화했다.

기존 제품인 타이타늄산바륨 나노 입자는 흰색을 나타내며, 이는 표면에 산소 결함이 형성되지 않음을 뜻하기도 하는데, 개발한 소재는 흰색 타이타늄산바륨 나노 입자와 비교해 오염물질 제거 성능이 약 4.3배 증가했고, 정화 과정을 반복해도 제거 성능을 유지해 유체의 흐름과 같이 낮은 에너지로 작동하는 압전 촉매 중 최고 수준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압전 촉매 작용을 위한 에너지원이 초음파에 국한된 기존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파도나 물의 흐름, 바람, 진동 및 음파 등의 다양한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하여 대기 및 수자원 정화 기술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압전 촉매 자체가 또 다른 오염물질로 작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화를 위해서는 활용된 입자를 제거 또는 지지체에 고정하는 기술 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