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배재대학교 최호택 교수(행정학과)가 ‘대전지역 국회의원 의정활동평가와 발전방안 모색’ 토론회를 31일 개최했지만 여론조사 과정에서의 샘플링 방식과 조사 문항이 엉망이라며 교수로서의 자질이 의심스럽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이 내용을 보면 현역 의원 종합 평가로 1위 박병석, 2위 권선택, 3위 이상민, 4위 임영호, 5위 이재선, 6위 김창수로 순위 매김을 하고 있다.
여론조사 과정은 객관적 샘플 추출 과정 없이 임의적으로 공무원 및 언론기관, 시민단체 500여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일반적인 여론 조사의 경우 객관성을 위해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직업군과 상관 없이 랜덤 방식의 샘플링으로 진행되지만 이번 여론조사의 경우 특정 계층을 타겟으로 했을 뿐 아니라 계층 내 구별, 연령별, 성별 등의 샘플링 조차 거치지 않은 표본을 사용했다. 이로 인해 4~50대 연령이 전체 샘플의 76%에 이르고 있으며 각 구별로 구분 조차 돼 있지 않다.
더욱이 이 같은 자료가 일반 시민의 의견인 양 자료가 제시됐으며 '지역주민들의 의견수렴 정도'를 대전시 공무원에게 답변을 받은 자체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해 충남대 통계학과 A 학생은 “그런 식의 여론조사는 학사 논문에도 쓰이지 않는다”며 “객관적 조사 방식도 아닌 여론조사들로 인해 심혈을 기울인 여론조사 조차 조작이라는 누명을 쓰게 된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게다가 공약실천이나 의정활동의 경우 공약 내용 및 실천 정도에 대한 당사자의 자료 확인이나 객관적 검증이 필요함에도 이 같은 과정을 거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의정 활동이나 공약에 대한 샘플의 지식 정도 조차 점검하지 않은 채 설문이 이루어졌다.
실제로 의정활동의 경우 입법, 정책개발, 정부감시에 대한 평가를 내용으로 하고 있지만 객관적 수치화가 가능한 법안 발의에서 하위권을 차지한 이재선 의원이 지난 6월 기준 27건으로 이상민 의원을 제외한 타 의원보다 발의 건 수가 많다.
이재선 의원실 관계자는 "▲2008~2010년 국토해양위에서 1843억원의 국비 확보 ▲노인난방비 지원 250억원 삭감 문제 정부와 협의 통해 원상복귀 ▲지방소비세법 법안 통과로 대전시 1년 800억 이상의 세수 확보 기여 ▲17년 숙원이었던 삼천동 둔산동 개명 ▲도시철도 2호선 관련 까다로운 예타 조항을 법안 통해 제거 등 지역 사업에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고 반박했다.
이어 "최 교수가 의원들의 공신력 있는 의정보고서를 확인하거나 정책담당자에게 자료를 받고나서 검증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객관성 없는 자료를 신뢰수준까지 붙혀가며 언론에 공개 하는 것은 정치적 성향에 의구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며 "의원실 관계자를 통한 확인 과정이 없는 조사는 최 교수의 독단적 자료로 볼 수 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입장 확인을 위해 최 교수와 통화를 시도 했지만 전화기가 꺼져 있는 상태이다.
한편 이 같이 사회에 파장이 될 수 있는 여론조사 결과가 배재대학교 자치여론연구소라는 이름으로 나가는만큼 교수와 자료에 대한 배재대의 자체적인 평가와 정화 노력이 절실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는 전북 장수 출신으로 청주고, 청주대를 졸업했으며 현재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