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입시] 내 6월 모평 점수...어느 대학 지원 가능할까
[2023 입시] 내 6월 모평 점수...어느 대학 지원 가능할까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7.07 14: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지역 대학 중위권 학과 진학에 최소 355점 필요...충청권 중상위권 학과도 321점 이상
한기온 이사장 "향후 학습전략 수립에 매우 중요한 의미"
한기온 제일학원 이사장.
한기온 제일학원 이사장.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 결과가 6일 발표된 가운데 대전 입시업체 제일학원이 이를 바탕으로 대학·학과 지원가능점수를 분석했다.

제일학원 한기온 이사장은 수험생들의 수능 영역별 수준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 수시지원과 관련된 전략 수립 및 통합수능의 출제경향과 난이도를 미리 가늠해 향후 학습전략 수립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각 영역별 만점은 표준점수로 각 200점 백분위는 각 100점을 기준으로 환산했다. 단 탐구영역의 경우 각 과목별 점수를 더해 표준점수 200점, 백분위 100점으로 환산했다. 따라서 3개 영역을 반영하는 대학은 표준점수 600점, 백분위 300점 만점이 된다.

지원가능점수는 인문계의 경우 ‘국어·수학·사탐’, 자연계는 ‘국어·수학(미적 또는 기하)·과탐’이 기준이다.

다만 한 이사장은 ”이번 지원가능점수는 제일학원이 6월 모의평가를 토대로 분석한 국어·수학·탐구의 단순한 표준점수 및 백분위점수 합으로 실제 대학에서는 수능 영역별 반영유형 및 반영비율 등이 다양해 참고자료로만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표준점수 기준(600점 만점)으로 인문계열의 경우 서울대 및 연고대 상위학과는 396점 이상, 연고대 및 서울지역 상위권 학과 384점 이상, 서울지역 중위권학과 및 대전·충청지역 상위권 학과 355점 이상, 대전·충청지역 중상위권 학과 321점 이상, 대전·충청지역 중위권 학과는 297점 이상을 받아야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자연계열의 경우 서울지역 최상위권 학과 420점 이상, 서울지역 상위권 학과 및 대전·충청지역 최상위권 학과 398점 이상, 서울지역 중위권학과 및 대전·충청지역 상위권 학과 363점 이상, 대전·충청지역 중상위권 학과 345점 이상, 대전·충청지역 중위권 학과는 320점 이상을 받아야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됐다.

아래는 주요 대학별 지원 가능점수

인문계열의 경우 표준점수(국수탐 600점 만점)를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이화여대 의예(인문)는 411점, 서울대 경제학부·자유전공학부·정치외교학부·언론정보·인문계열, 경희대 한의예, 이화여대 미래산업약학 406점, 서울대 사회교육·국어교육·아동가족, 연세대 경영·경제·행정·정치외교, 고려대 경영·경제·통계·자유전공 396점, 연세대 영어영문·교육학부·문헌정보·사회복지, 고려대 심리학부·국어교육·보건정책관리, 서강대 경영, 성균관대 글로벌경영·글로벌경제, 한양대 파이낸스경영·행정 391점, 성균관대 경영·글로벌리더·사회과학계열, 서강대 경제학부·지식융합미디어학부·사회과학부, 한양대 정책·경제금융학부·경영학부, 중앙대 글로벌금융·경영, 한국외대 LT학부·LD학부, 이화여대 초등교육·뇌인지과학 387점, 성균관대 인문과학계열·교육, 한양대 국제학부·관광학부, 중앙대 공공인재학부·경영경제대학, 서울시립대 세무·도시행정, 이화여대 통합선발은 384점 이상이면 지원이 가능해 보인다.

성균관대 한문교육, 한양대 국어국문, 중앙대 영어교육, 경희대 회계세무·경영, 한국외대 EICC·국제학부, 서울시립대 행정·경영학부, 이화여대 영어교육,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동국대 경찰행정학부 380점, 경희대 자율전공·관광학부, 한국외대 영어교육·국제통상, 서울시립대 국제관계·도시사회, 건국대 기술경영·영어교육, 동국대 국어교육·역사교육, 홍익대 자율전공(인문예능)·경영학부 376점, 경희대 영어영문, 한국외대 중국어교육, 서울시립대 국어국문, 건국대 문화콘텐츠, 동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홍익대 영어교육, 숙명여대 미디어학부·홍보광고, 인하대 아태물류학부는 369점 이상으로 분석됐다.

한편 백분위점수 기준(300점 만점)으로는 상지대 한의예 285점, 경인교대 269점, 국민대 광고홍보·AI빅데이터융합경영, 성신여대 간호 256점, 국민대 경영학부·회계, 단국대 국제학부는 246점 이상은 돼야 지원 가능해 보인다.

대전·충청권 대학의 경우 표준점수 기준으로 공주교대 및 청주교대는 369점 이상, 충남대 경영학부·경제·행정학부·심리·국어교육·영어교육, 충북대 역사교육 355점, 충남대 무역·언론정보·정치외교, 충북대 심리·영어교육·윤리교육 348점, 충남대 농업경제·국제학부·영어영문, 충북대 경영학부·행정 339점, 충남대 국어국문·중어중문·일어일문, 충북대 경영정보·국제경영·농업경제 333점, 충북대 자율전공·아동복지, 고려대(세종) 융합경영학부는 324점 이상이면 지원이 가능할 전망이다.

한편 백분위점수(300점 만점) 기준으로 한국교원대 초등교육 269점, 영어교육·국어교육·윤리교육·역사교육 265점 이상, 한국기술교육대 고용서비스정책 210점, 산업경영학부 187점이면 가능해 보인다.

자연계열의 경우 표준점수(국수(미적/기하)탐 600점 만점)를 기준으로 서울대 의예, 연세대 의예는 433점, 성균관대 의예, 가톨릭대 의예, 울산대 의예, 고려대 의과대학 425점, 경희대 의예, 중앙대 의학부, 한양대 의예, 이화여대 의예, 아주대 의학, 서울대 치의학, 컴퓨터공학 420점, 서울대 약학계열·전기정보공학부·화학생물공학부·기계공학부, 경희대 치의예, 연세대(미래) 의예 415점, 서울대 수의예·산업공학·화학부·항공우주공학·원자핵공학, 연세대 약학·시스템반도체공학, 고려대 반도체공학, 성균관대 약학, 중앙대 약학부, 경희대 한의예·약학, 이화여대 약학, 숙명여대 약학부 410점, 서울대 응용생물화학부·지구환경과학부·식품동물생명공학부,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화공생명공학부·인공지능·기계공학부, 고려대 스마트보안학부·전기전자공학부·데이터과학·사이버국방, 한양대 약학, 건국대 수의예 408점, 서울대 의류·식품영양, 연세대 산업공학·생명공학·글로별융합공학부, 고려대 신소재공학부·산업경영공학부·바이오의공학부,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 한양대 미래자동차공학·융합전자공학부·데이터사이언스학부 403점, 연세대 건축공학·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고려대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건축사회환경공학부, 성균관대 소프트웨어·공학계열, 서강대 컴퓨터공학·기계공학, 한양대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바이오메디컬공학·기계공학부, 중앙대 AI·창의ICT공과대학·소프트웨어학부, 이화여대 인공지능은 398점 이상은 돼야 지원이 가능할 전망이다.

성균관대 수학교육·자연과학계열, 서강대 화공생명공학·생명과학, 한양대 건축학부·도시공학, 중앙대 산업보안·화학신소재공학부, 경희대 정보디스플레이·약과학, 서울시립대 인공지능·전자전기컴퓨터공학, 이화여대 뇌인지과학·통합선발(자연), 한국항공대 항공운항, 건국대 스마트ICT융합공학·줄기세포재생공학, 홍익대 건축·산업데이터공학 392점, 경희대 수학·화학, 서울시립대 기계정보공학·화학공학·도시공학, 건국대 수학교육·전기전자공학, 홍익대 컴퓨터공학·자율전공(자연) 387점, 경희대 식품영양,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교통공학, 건국대 기계항공공학·사회환경공학,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 홍익대 건설환경공학, 숙명여대 통계, 서울과학기술대 지능형반도체공학은 382점 이상은 돼야 지원이 가능해 보인다.

백분위점수(300점 만점) 기준으로 가천대 의예 295점, 삼육대 약학, 가천대 약학 291점, 동덕여대 약학, 덕성여대 약학, 가천대 한의예 290점 이상이면 지원 가능해 보인다.

대전·충청권 대학의 경우 표준점수 기준으로 충남대 의예 420점, 충북대 의예, 건국대(글로컬) 의예, 단국대(천안) 의예 415점, 충남대 약학, 충북대 약학, 단국대(천안) 치의예 410점, 충남대 수의예, 충북대 제약, 고려대(세종) 약학, 단국대(천안) 약학 408점, 충북대 수의예 403점 이상을 지원가능 점수로 봤다.

충남대 간호·전자공학·기술교육·수학교육 368점, 충남대 생화학·정보통계·전기공학·기계공학·인공지능, 충북대 수학교육·생물교육·간호 358점, 충남대 천문우주과학·수학·식품공학·건축, 충북대 화학공학·기계공학·전기공학, 고려대(세종) 지능형반도체공학 349점, 충남대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동물자원과학·건설공학교육, 충북대 신소재공학·공업화학·물리교육, 고려대(세종) 미래모빌리티·스마트도시학부, 홍익대(세종) 건축공학부 339점, 충북대 건축공학·지구환경과학·원예과학, 고려대(세종) 식품생명공학, 홍익대(세종) 소프트웨어융합·과학기술대학자율전공은 330점 이상을 지원가능 점수로 분석됐다.

백분위점수(300점 만점) 기준으로 순천향대 의예 295점, 을지대 의예, 건양대 의학 293점, 대전대 한의예 290점, 세명대 한의예 287점, 한서대 조종사양성, 한국교원대 수학교육·물리교육·생물교육 275점, 화학교육·지구과학교육 270점, 단국대(천안) 간호, 순천향대 간호 251점, 한국기술교육대 전기전자통신공학부·기계공학부 237점, 한국교통대 항공운항, 한국기술교육대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단국대(천안) 의생명공학부·치위행 224점, 한밭대 모바일융합공학·인공지능·소프트웨어, 한남대 간호 210점 이상이 지원가능점수로 분석됐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