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대전시장 "나노·반도체, 주력 산업으로 육성"
이장우 대전시장 "나노·반도체, 주력 산업으로 육성"
  • 김용우 기자
  • 승인 2022.07.14 14: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노·반도체 부품·소재 실증평가원 설립 추진키로
330만㎡ 규모 나노·반도체 산업단지 조성 움직임도
이장우 대전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이 나노·반도체 산업에 대한 집중 육성 계획을 제시했다.

나노·반도체 산업을 민선8기 핵심 산업으로 키우겠다는 것인데 그 일환으로 타 도시보다 비교우위에 있는 나노·반도체 부품·소재 실증평가원 설립을 추진키로 했다. 

이 시장은 14일 취임 이후 첫 기자회견을 열고 나노·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밑그림을 내놨다.

3대 전략으로 △나노·반도체 부품·소재 실증평가원 설립으로 기업지원 △나노·반도체 산업단지 조성으로 새로운 산업생태계 구축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지원 및 전문인력 양성 등 큰 틀을 공개했다.

이장우 시장은 "부품 제조기업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제품 테스트를 국내에서 못하고 외국에서 진행하는 것"이라며 "실증평가원이 구축되면 평가기반이 마련되고 출연연과의 협력을 통한 기술개발로 기업경쟁력 강화는 물론 글로벌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역 중소기업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받아 시장 진출 및 기업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시는 유망기업과 연관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 330만㎡이상 규모의 나노·반도체 산업단지 조성에도 나선다.

산업단지가 조성되면 반도체 가치사슬별 유망기업 및 연관기업을 집적화할 수 있고 나노·반도체 소부장 테스트베드 등 관련시설을 조성해 산업생태계 구축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나노종합기술원, ETRI 등 출연연을 활용, 차세대 반도체 개발역량 강화 및 핵심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R&D 투자를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또 KAIST와 대학, 나노종합기술원, 대전형 소부장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전문인력 양성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도 전했다.

이 시장은 "반도체는 모든 첨단산업의 필수부품이자 미래 기술경쟁력의 핵심요소이나 최근 반도체 공급난이 심화되고 있다"며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어 과감한 대책마련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고 했다.

이어 "출연연의 연구개발능력과 연구인력,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대학, 연구기관과 연계한 인력양성 등 대전만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나노·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