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연, 암 진단·치료 비용 감소시키는 나노바이오 소재 개발
생명연, 암 진단·치료 비용 감소시키는 나노바이오 소재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10.27 14: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명연 이창수 교수 연구팀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암 진단과 치료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소재를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이창수 박사팀이 경희대 연구팀과 암세포 정밀진단과 함께 광열 치료까지도 가능한 나노바이오 융합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암은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어 조기 진단과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암의 진단에는 내시경 검사나 영상진단 검사 후 조직검사를 시행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복잡하고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어 쉽고 간단한 진단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암의 치료 역시도 수술요법, 항암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요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다른 질환에 비해 치료법이 복잡하고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커, 치료의 효과를 최대화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치료법 개발에 대한 수요가 높다.

이번에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암세포를 발견하면 형광 신호와 자기 신호를 통해 정밀진단을 할 수 있고,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통해 광열 치료까지도 모두 가능한 테라그노시스 나노 복합체이다.

연구팀은 체내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기반으로 형광물질을 새롭게 만들고, 여기에 망간염을 결합해 자기적 성질을 갖도록 했다. 체내 투입된 소재가 암과 같은 산성화된 환경과 만나면, 형광 이미지와 MR(magnetic resonance, 자기 공명) 이미지를 동시에 나타나게 해 보다 정밀한 진단이 가능하였다.

이렇게 발견한 암세포 부위에 근적외선을 쪼이면 빛 에너지를 받은 나노 복합체가 열에너지를 방출하며 고형암을 태우며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나아가 사멸까지도 유발했다.

연구팀은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도 암세포의 발견과 치료 효과를 확인하며, 나노의약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이창수 박사는 “암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하여 영상진단과 정밀치료 시 드는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한 것”이라며 “다양한 종류의 암에 대응하고 인체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후속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