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유성복합터미널 2025년 준공...'전광석화' 추진
대전시, 유성복합터미널 2025년 준공...'전광석화' 추진
  • 김용우 기자
  • 승인 2023.02.09 14: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택 제외한 순수 터미널 기능 중심, 市 재정 투입
이장우 시장, 공공성·실용성·신속성 강조
이장우 대전시장이 9일 유성복합터미널 건립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이 9일 유성복합터미널 건립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대전 유성복합터미널 조성 사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유성복합터미널 사업은 과거 네 차례 민자 공모에 실패하며 10여 년간 공전을 거듭했던 숙원 사업이다. 사업 기간은 당초 2027년에서 2025년으로 최대 2년 앞당겨 추진될 예정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9일 시정브리핑을 통해 “명실상부한 공영개발 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해 시 재정사업으로 추진하고 주택을 제외한 여객시설 중심으로 2025년까지 신속하게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터미널 조성에 시 재정을 투입해 공공성을 강화하고, 여객시설 중심의 터미널로 조성해 실용성을 높이는 한편, 행정절차를 병행해 사업기간을 2년 단축, 2025년까지 사업을 마무리해 신속성을 확보하겠다"며 추진 방향을 설명했다.

유성복합터미널은 1만5000㎡ 부지에 대합실, 승·하차장, 사무실 등 여객시설을 중심으로 조성하고, 현재 임시 운영 중인 유성시외버스정류소는 예산 절감을 위해 지속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터미널 주변 상습 불법주정차 문제해결을 위해 시외버스 심야주차 및 터미널 이용객을 위한 주차장도 116면을 확충하고 인근 환승주차장 210면을 연계 활용할 예정이다.

기존 터미널용지를 분할한 지원시설 용지 1만1000㎡에는 민간분양을 통해 컨벤션, 호텔, 클리닉, 복합문화시설 등을 유치한다는 복안이다. 공공청사용지는 6500㎡ 규모로 향후 공공기관 이전에 대비해 여유 부지를 확보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의 총 투자규모는 3450억 원으로, 터미널은 시 재정으로 460억 원을 투자, 지원시설은 민간개발로 1900억 원, 공공청사는 공공기관 유치로 1090억 원이 투자될 전망이다.

시는 올해 말까지 국가교통위원회 심의, 국토교통부 승인, 중앙투자심사 등 행정절차를 완료하고, 2024년 설계를 거쳐 2025년 말까지 터미널 건립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앞서 대전시는 2010년부터 유성복합터미널 조성사업 민간사업자 공모를 4차례 실시했으나 모두 무산된 바 있다. 

그 대안으로 45층의 1천여 세대 아파트 분양수익으로 터미널을 조성하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주택시장 침체에 따른 분양 불확실성, 터미널 인근 재개발(5200세대) 입주시 예상되는 교통대란 등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터미널 내 분양 계획은 폐기됐다.

이장우 시장은 “대전시민의 오랜 염원인 터미널 건립에 시정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 신속한 건설을 통해 시민에게 교통수요권을 보장해 주겠다”며 사업추진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