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강창종 교수, ‘Chemistry of Materials’ 논문 게재
충남대 강창종 교수, ‘Chemistry of Materials’ 논문 게재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3.06.14 11: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로운 극성 도체 산화물 ‘Bi2ReO6’ 합성/발견
극성 구조 생성 원리 규명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강창종 교수가 베이징 국립 연구소 Hai L. Feng 박사팀과 공동으로 새로운 극성 도체 산화물 ‘Bi2ReO6’를 설계 및 합성하고, 이 물질에서 극성 구조가 생기는 원리를 규명했다.

강창종 교수
강창종 교수

이번 연구 결과는 물리화학 저명 학술지 ‘Chemistry of Materials’(IF: 10.508, JIF quartile: Q1)에 6월 9일에 온라인으로 게재됐으며, 강창종 교수는 공동 교신저자로 논문에 참여했다. (논문 제목: Design and synthesis of a metallic polar Aurivillius oxide Bi2ReO6)

극성 도체 물질은 금속 특성과 극성이 결합한 독특한 속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기능적 응용 분야에서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에 강창종 교수는 Hai L. Feng 박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극성 도체 산화물 ‘Bi2ReO6’를 설계하고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또, ‘Bi2ReO6’에서 극성 구조가 생기는 원리를 규명했다.

강창종 교수는 “새로 발견한 ‘Bi2ReO6’ 극성 도체의 극성 생성 원리는 차세대 전기 축전기 및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등 다양한 전기소자에 응용·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극성 도체 Bi2ReO6 의 격자구조 (왼쪽) 및 수렴성 빔 전자 회절(CBED)을 이용한 해당 물질의 극성 구조 확인
새로운 극성 도체 Bi2ReO6 의 격자구조 (왼쪽) 및 수렴성 빔 전자 회절(CBED)을 이용한 해당 물질의 극성 구조 확인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 과제와 한국연구재단 BK21 Four 지원 및 KISTI의 초고성능컴퓨팅 자원과 기술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