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대전교원 6단체가 9일 ”대한민국 교육이 죽어가고 있다“며 교육활동보장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대전교사노조, 대전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대전교총), 대전실천교육교사모임 준비위원회(이하 대전교사모임), 대전좋은교사운동(이하 대전교사운동), 전국교직원노조대전지부(이하 전교조 대전지부), K-EDU교원연합대전지부(이하 K-EDU 대전지부) 등 대전교원 6개 단체는 이날 대전시교육청 앞에서 ”무너지는 비참한 교육 현실을 바로 세워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교권침해 문제가 전국적으로 이슈된 후 대전지역에서 모든 교원단체들이 공동으로 나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아동복지법과 아동학대처벌법, 교원지위법, 초중등교육법 개정과 함께 학교 민원창구 단일화, 교육활동 방해 학생 즉시 분리로 교사 수업권 및 학생 학습권 보장, 교육활동보호 위안 교권보호 원스톱 서비스 실시 등을 촉구했다.
또 교육활동 보호 매뉴얼, 악성 민원에 대한 대응 체계 마련, 민원 실명제 등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날 김영진 대전교사노조 수석부위원장은 “현재 모든 교사들은 낭떠러지 끝에 매달려 있다“며 ”대다수의 학생들을 지켜낼 힘이 점점 사라지고 있어 두렵다. 교사와 학생의 교육권이 존중되고 안전하고 정상적인 교육 활동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하철 대전교총 회장은 “최근 현실을 보면서 참담함과 울분을 감출 수가 없다“면서 ”더 이상 스승이라는 이름으로 참지 않도록, 더 이상 선생님이라는 이유로 혼자 감내하지 않도록 조언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달라“고 호소했다.
김현희 전교조 대전지부장도 “우리 선생님들과 아이들이 기본적인 안전조차 보장받지 못해 불안과 불신에 떨고 있다”면서 “교육은 민주주의의 마지막 보루다. 학생들은 민주적이고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하고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법적 보호장치 마련도 요청했다. 송사에 휘말린 교사가 혼자 싸우지 않도록 모든 절차와 비용을 교육청 차원에서 도와달라는 뜻이다.
대전 교원 6단체는 “경기도교육청은 앞으로 교사가 송사에 휘말릴 경우 교사 혼자 싸우지 않게 하겠다고 선언했다”며 “환영할만한 결정이며 대전이라고 못할 것 없다”고 했다.
이어 “우리는 교권 강화가 아닌 교권 보호를 외치고 있다”며 “교사이기 이전에 한 명의 인간으로서 존엄함을 지켜내기 위한 생존권과 자기 방어권을 갖기 위한 외침”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이들은 기자회견 후 교육국장실을 찾아 정흥채 교육국장에게 교육활동보장을 위한 교원 6단체 요구안을 전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