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이 공직사회와 산하 공공기관 기강 확립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민선 8기 2년 차를 맞아 조직 긴장감이 떨어진 점과, 실·국장 등 일부 간부 공무원의 복지부동을 질책하며 공직사회에 충격파를 던진 것.
이 시장은 5일 옛 충남도청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민선 8기 1년 조금 넘었는데 느슨한 실·국장이 있다. 새로운 일, 어려운 일을 피하고 전임 부서장 탓을 하거나 용역을 하고, 안 되면 다른데 자리 옮기려고 한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 시장은 전 실·국장에게 "10월 초 100대 과제와 국책사업 내역을 직접 보고할 것"을 주문했다. 실·국장 복무 점검을 강화해 일 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전관예우와 같은 카르텔 폐단 척결도 선언했다.
이 시장은 "무사안일, 이권 카르텔과 같이 나눠먹기 식으로 국민 세금이 낭비되는 사례가 없는지 스스로 돌아보고 항상 경계해야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전직) 공직자들이 용역회사에 들어가서 실·국별로 로비를 하고 있다"며 건설관리본부와 도시주택국을 향해 “카르텔을 어떻게 끊을 지 보고하라"고 볼륨을 높였다.
이와 함께 대전시설관리공단 내 정보통신과 하수처리 분야, 1천만 원 미만 일상 경비 등에 대한 문제를 거론하며 특정감사를 지시했다. 이 시장은 "시설관리공단은 특정감사 결과를 토대로 책임소재를 가린 뒤 인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했다.
지난 4일 민주당 국회의원들이 공동개최한 대전특별자치시 특별법 제정 공청회에서 정책 방향을 제안한 대전세종연구원도 공개 질타 대상에 올랐다. 시 산하 공공기관이 시와 협의 없이 정책토론회 등에 참석할 경우 시민들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
이 시장은 “이와 같은 행사에 참석할 때는 시장의 허락을 받으라, 시가 주도하는 것으로 착각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선거를 앞두고 각 공공기관장들이 정략적으로 이용당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공공기관은 대전시와 혼연일체 해야 한다”며 “시정과 정책 엇박자가 나면 시민들에게 어려움이 발생한다. 각 실국과 모든 것을 긴밀히 협력해 달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