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표류를 거듭하고 있는 우주항공청 설치에 대한 문제가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등장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24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단체 소관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대상으로 우주항공청 설치에 대한 의견을 묻는 자리가 마련된 것.
우주항공청의 경우 미국 NASA에 대응하는 기관을 만들겠다며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연구개발 기능 주체에 대한 이견으로 표류하고 있다.
특히 우주항공청 설립으로 대전 대덕특구에 있는 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의 기능 축소, 나아가 우주산업 클러스터 3각 체제의 한 축인 대전의 역할축소 등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다만 논의의 중심에 서 있는 항우연은 우주항공청 설립과 R&D 기능 도입을 적극 지지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우주항공청 설립에 대한 생각을 묻는 김병욱(국민의힘·경북 포항남구·울릉) 의원에게 항우연 이상률 원장은 “모든 직원들이 우주항공청 설립을 원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 원장은 “R&D 기능은 우주항공청에서 반드시 가져가야 한다”면서 “다만 항우연과 같은 기존 조직과의 관계 설정을 제대로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R&D를 잘하려면 (우주항공청이) 기획이나 정책을 넘어 R&D를 총괄하고 실제 실행해도 된다”면서도 “그런데 30여년을 투자해온 항우연을 별개로 두고 R&D를 한다고하니 오해가 나타나는 것 같다. 한 울타리에 들어가서 했으면 좋겠다는 게 항우연 입장”이라고 했다.
장제원 과방위원장이 “일단 시작하는 우주항공청에 R&D 기획, 설계 기능을 두고 항우연이 R&D를 전담하는 정도로 시작하는 것은 어떻냐”고 묻자, 이 원장은 “일단 그렇게 시작하는 것도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지역 문제와 R&D 문제를 섞진 않았으면 한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