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중계의학저널 (Journal of Translational Medicine, IF 8.448)에 주저자로 게재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만성피로증후군(chronic fatigue syndrome, CFS)은 의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원인으로 극심한 피로감과 가벼운 활동 후에도 까라지면서 기억력․ 집중력 저하 및 머리가 안개 낀 것과 같은 브레인포그 증상을 호소하는 질병이다.
환자의 50%는 온전한 사회생활이 불가능하며, 30% 정도의 환자는 집안에서만 생활이 가능한 심각한 질병으로 알려졌다. 전 세계적으로 천만 명이상의 환자가 이 질환을 앓고 있으며, 한국에서만 매년 약 2만 5천명의 새로운 환자가 진단을 받는 것으로 보고된다.
하지만 이렇게 의학적으로 심각한 질환임에도 아직 공인된 치료법이나 치료약물이 없는데, 가장 커다란 이유는 이 질병의 정확한 원인과 기전을 모르고, 혈액이나 방사선 등과 같은 객관적인 진단법도 없다는 것이다.
한편, 최근 세계적인 코로나 펜데믹을 겪으면서, 만성피로증후군의 발병이 바이러스 감염과 상관이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유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 후 후유증을 겪는 롱코비드 환자들의 30% 정도가 심한 피로감과 브레인포그와 같은 만성피로증후군 유사증상을 호소하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사실, 만성피로증후군의 또 다른 이름인 근육통성뇌척수염 (myalgic encephalomyelitis)이나 바이러스후피증후군(post-viral fatigue syndrome)은 전통적으로 바이러스 감염과의 관련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특정 바이러스와의 인과관계를 밝히려는 시도를 하였다.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학부생인 황재현군은 3년간의 여름방학과 겨울방학 기간에 대전대학교 한방병원 만성피로증후군연구센터에 학생연구원(지도교수 손창규 센터장)으로 참여하면서, 18 종의 바이러스 감염이 만성피로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개관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약 만 오천 명의 환자와 건강한 사람을 비교한 64개의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위험 바이러스 목록과 위험의 크기를 도출하였고,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Translational Medicine (IF: 8.448) 2023년 11월 온라인판에 발표하였다.
주 저자로 참여한 황재현씨는“연구에 참여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논문을 쓰면서 수많은 우여곡절들을 겪었지만, 보통의 학부생들로서는 쉽지 않은 국제수준의 눈높이를 배우게 되었고, 앞으로 과학적 연구능력을 겸비한 예비한의사로 훈련받은 것 같아 기쁘다”라고 소감을 말하였다.
한편, 대전대학교 만성피로증후군 중점연구센터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체계적으로 만성피로증후군에 대한 기초연구와 치료약물 등 임상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그동안 꾸준한 성과를 발표해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