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이창수 교수팀, ‘Small’ 논문 게재
충남대 이창수 교수팀, ‘Small’ 논문 게재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4.01.10 13:35
  • 댓글 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리적 조건에서 히스테리시스 없이 높은 안정성을 갖는 하이드로겔(hydrogel) 개발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이창수 교수팀이 성균관대 김재윤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생리적 조건에서 높은 기계적 특성이 유지되며, 생체 소재로 활용 가능한 하이드로겔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이창수 교수팀 증명 사진 및 연구 설명 그림
이창수 교수팀 증명 사진 및 연구 설명 그림

이번 연구 성과는 화학·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Small’(IF: 13.3) 12월호에 게재됐으며, 이번 연구는 충남대 김동영 박사와 성균관대 지동환 박사가 공동 제1저자, 이창수, 김재윤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 논문 제목: Hysteresis-Free, Elastic, and Tough Hydrogel with Stretch-Rate Independence and High Stability in Physiological Conditions

현재 하이드로겔을 강화하는 다양한 합성 방법이 연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리적 조건에서의 기계적 특성이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 염분이 많은 생리적 조건에서 일반적인 하이드로겔은 반복적인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로 인해 기계적 특성을 잃는 현상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해양 생물체의 실리카 생성 방법을 모방해 독특한 표면 특성을 갖는 실리카 입자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해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강화했다. 합성된 실리카 입자는 고분자 사슬이 내재된 복잡한 표면을 가지며, 이 독특한 표면은 하이드로겔의 구조를 이루는 고분자 체인과의 견고한 상호 작용을 형성했다.

그 결과, 연구팀의 하이드로겔은 강도, 강성, 및 인장성이 향상됐으며, 히스테리시스 없이 신축률에 독립적인 탄성 특성을 보였다. 또, 연구팀은 강화된 기계적 특성이 높은 염분을 포함하는 생리적 조건에서도 변하지 않음은 물론, 이를 생체 센서로 응용 가능함을 입증했다.

이창수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생리적 조건에서 하이드로겔의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며, 향후 다양한 의료 및 바이오 응용 분야에 기대할 만한 생체 소재로 발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7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윤진한 2024-01-10 23:34:00
헌법, 국제법, 학교교육의 교과서 교육인 국사, 세계사 자격이 기준이며 가장 합법적이고, 보편적이며 학술적임.

필자는 성균관대 출신입니다.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승계 성균관대는, 해방후, 미군정이 성균관을 복구시키는 법률을 발효, 전국 유림대회 결의(고문:이승만,김구, 위원장: 김창숙)에 따라, 성균관장으로 선출된 김창숙 선생이, 미군정에, 대학기구로 성균관의 복구를 실행하는 성균관대를 등록(성균관은 제사기구로 이원화)하여, 조선.대한제국 성균관의 승계대학으로, 미군정때부터의 국사 성균관 교육으로, 해마다, 학교에서 성균관을 교육시키고 있습니다. 세계사에서 중국 태학,국자감(원.명.청의 국자감은 베이징대로 승계

하여 현재에 이름), 서유럽의 볼로냐.파리대학을 해마다 학교교육에서

윤진한 2024-01-10 23:34:35
교육시키는 학교교육 교과서 교육은, 대중언론.입시지,대학평가기관의 새로운 도전과 달리, 관습법적으로 국제법적 자격을 가진 최고의 권위를 가졌습니다. 한국은, 해방후 미군정시대에, 일제잔재 대중언론에서 시작된 경성제대후신 서울대가, 주권.자격.학벌없이, 국사 성균관자격 성균관대에, 도전해오고 있지만, 헌법.국제법,국사,세계사 자격의 정통성은, 일제잔재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와 그 추종세력의 도발을 인정해오지 않으며,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국사 성균관자격 성균관대는 한국 최고(最古,最高)대학 학벌입니다. 세계사의 교황성하 반영, 교황윤허로 설립이 기획되어 세워진 예수회 산하의 서강대는, 국제관습법상 궁 성균관대(宮, 泮宮, 學宮, 太學의 별칭가진 성균관)다음의 가톨릭계 귀족대학으로, 양반자격 성균관대와 같은 R

윤진한 2024-01-10 23:35:47
Royal대학으로 예우한다는 지론을 펼쳐옴. 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 포함)을 받아들여, 일본이 항복한후,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 및 각종 왜구 잔재 초급대나, 공립 중.고교는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이 없어왔기 때문에, 미군정때부터 대중언론에서 도전.약탈.침략해온 서울대와 그 추종세력이 된 대학을, 법이나 교과서, 학술적으로 불인정해옴.@학과에 상관없이 무슨학과든지 Royal 성균관대(국사 성균관자격), Royal 서강대(세계사의교황반영, 교황윤허로 설립이 기획되어, 국제관습법상 성대다음 Royal대 예우). 성균관대(양반대학)와 서강대(가톨릭계 예수회의 귀족대학)만 Royal대며, 일류.명문임. 주권.자격.학벌 없는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일본 점쇠 천황이 세운 마당쇠 대학), 그 뒤 연세대(일본 강점기 연희

윤진한 2024-01-10 23:37:23
연희전문 후신 연세대), 서민출신 이용익의 보성전문 후신 고려대일것. 성대와 서강대 밖의 리그로 본다면 주권.학벌없는 서울대, 연세대(본캠), 고려대(본캠), 이화여대.이화도 주권.학벌은 없지만, 왜구 서울대가 연세.이화 필요하던 미군정때의 대중언론 도전. 성균관대에 오랫동안 도전을 해와서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 카르텔은 전분야에서 아주 강합니다.
https://blog.naver.com/macmaca/223275408637

윤진한 2024-01-10 23:35:16
Royal대학으로 예우한다는 지론을 펼쳐옴. 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 포함)을 받아들여, 일본이 항복한후,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 및 각종 왜구 잔재 초급대나, 공립 중.고교는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이 없어왔기 때문에, 미군정때부터 대중언론에서 도전.약탈.침략해온 서울대와 그 추종세력이 된 대학을, 법이나 교과서, 학술적으로 불인정해옴.@학과에 상관없이 무슨학과든지 Royal 성균관대(국사 성균관자격), Royal 서강대(세계사의교황반영, 교황윤허로 설립이 기획되어, 국제관습법상 성대다음 Royal대 예우). 성균관대(양반대학)와 서강대(가톨릭계 예수회의 귀족대학)만 Royal대며, 일류.명문임. 주권.자격.학벌 없는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일본 점쇠 천황이 세운 마당쇠 대학), 그 뒤 연세대(일본 강점기 연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