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올해 2학기부터 원하는 초등학교 1학년이라면 누구나 저녁까지 학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늘봄학교가 전국으로 확대된다.
교육부는 24일 오후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주요정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늘봄학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학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이른바 ‘돌봄+방과후’ 정책이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해 459개 학교에서 늘봄학교를 시범운영한 바 있다. 올해 1학기에는 2000여 곳으로 늘어나며 2학기에는 모든 초등학교에서 운영된다.
시범운영 당시 맞벌이나 저소득층이 대상으로 제한돼 있었지만 올해는 그 제한이 없어지는 것도 차이점이라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교육부는 올해 전면 확대에 이어 내년에는 초등학교 1~2학년으로, 2026년엔 희망하는 모든 초등학생으로 그 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다만 늘봄학교로 인한 교원 업무 부담 증가 지적이 잇따르자 2025년까지 교원과 늘봄학교 업무를 분리키로 했다. 이를 위해 신규 업무를 위한 기간제교원 등 전담인력 확충 및 전담 조직 ‘늘봄지원실’을 만들어 실무인력을 배치할 예정이다.
한편 중앙부처 관리체계 교육부 일원화, 지자체 보육 업무 시·도교육청 통합 등 0~5세 영유아의 교육·돌봄 강화를 위한 유보(유아교육·보육)통합도 계속 추진된다.
이날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늘봄학교와 유보통합, 교권 회복 및 디지털 교사 연수, 대학 혁신 생태계 허브 조성 등 교육개혁 3개 방향을 발표했다.
이 부총리는 “사교육 경감 뿐 아니라 저출생 반등도 충분히 계기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