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31일 새로운 버전의 과학기술 특화 생성형 거대 언어 모델(LLM) 'KONI'(KISTI Open Natural Intelligence, 한글명 고니)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 전문 국가연구기관인 KISTI는 다양한 국가 과학기술 빅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과학기술에 특화된 LLM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한 새로운 버전의 KONI는 사전학습 LLM인 KONI-Llama3-8B 및 Chat 모델인 KONI-Llama3-8B-Instruct 두 가지 버전으로 공개됐다.
이번 공개모델들은 기존 모델보다 2배 이상의 과학기술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활용해 학습됐으며 추론, 글쓰기, 이해 등 다양한 작업에서 성능이 크게 향상됐다는 설명이다.
특히 한국어 LLM에 대한 종합적인 사고력을 측정하는 LogicKor 벤치마크 리더보드에서 동일 크기 LLM 중 1위를 달성했다.
무엇보다 단지 8B 모델 크기를 갖는 KONI LLM이 70B 이하 LLM 중 처음으로 LogicKor 점수 8점을 넘어선 8.21점을 기록함으로써 한국어 LLM 개발에 있어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다는 평가다.
KISTI KONI LLM들은 Hugging Face와 KISTI의 AI 데이터 공유·활용 서비스 AIDA에서 누구나 제약없이 다운로드해 활용할 수 있다.
또 KISTI는 LLM에서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환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존 정보 서비스 시스템이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검색 증강 생성 기술(RAG)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를 KONI와 연계해 신뢰성이 향상된 질의응답 시스템을 개발했고, 과학기술 관련 법령, 규정, 지침을 대상으로 하여 KISTI 내부에서 성능 검증을 통해 연구원들의 다양한 피드백을 수집해 추가 학습함으로써 KONI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켰다.
KISTI는 앞으로도 국가 과학기술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성능이 향상된 새로운 버전의 다양한 모델 크기의 KONI를 주기적으로 공개할 계획이며 과학기술 출연연뿐 아니라, KISTI와 협력 중인 국방, 전력, 정책 등 여러 공공기관의 수요를 반영한 도메인 특화 LLM 또한 개발, 보급할 계획이다.
김재수 원장은 "새로운 버전의 KONI를 통해 과학기술 및 산업 분야를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과학기술정보 유통과 분석 체계를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더 나아가 연구자의 과학적 발견을 지원할 수 있는 에이전트(Agent)체계인 KONI 기반 자율 연구자 AI를 구축할 계획이"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