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운영의 묘 극대화 위해 대통령실이 인사 결단 내려야"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국민의힘 22대 총선 주자들의 눈길이 ‘용산 대통령실’로 쏠리고 있다.
총선 낙선자를 중심으로 소위 ‘자리 배정’에 대한 기대심리가 감지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기류는 과거 정권의 인사 행태와 맥이 닿아있다. 통상적으로 정부투자기관과 또는 정부산하기관의 사장·상임감사 등 주요 임원의 경우 정권과 통하는 인사가 임명되는 것이 상례였다.
대전의 경우도 코레일, 한국수자원공사, 충남대병원 등 주요 정부기관의 사장 또는 감사가 정부측 인사로 임명돼 왔다.
윤석열 정부의 경우 전 정권 임명 공기업 사장·감사 등의 임기를 사실상 최대한 보장하며, 현재 시점에서 수장 교체가 가능한 기관이 다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례로 한국중부발전의 경우 문재인 정부에서 2021년 임명한 인사가 상임감사위원으로 아직까지 재직하고 있어, 친정부 성향 인사로 교체 가능성이 점쳐지는 것이 사실이다.
일부 총선 낙선자들의 경우 소위 ‘자기 자리’를 찾아가는 모습도 감지돼, 남아있는 총선 낙선자의 속을 태우고 있다.
지역에선 한국거래소의 자회사인 코스콤이 신임 사장 인선 절차에 돌입하면서, 대전 동구 출신인 윤창현 전 국민의힘 의원의 내정설이 고개를 들고 있다.
또 충남 홍성·예산의 홍문표 전 의원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신임 사장 하마평이 무성하다.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을 지냈음은 물론, 국회의원 4선을 하는 동안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주로 활동해 와,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는 평가다.
이 같은 상황으로 인해 지역 안팎에선 대통령실이 충청 출신 총선 낙천자에 대한 인사 배려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고개를 들고 있다.
특히 대전·충청권의 경우 단체장 출신 전직 국회의원을 비롯해, 율사, 공무원 등 다양한 계층의 총선 낙천자가 대거 포진해 있어, 능력을 입증받았다는 것이 공론이다.
지역정치권의 한 인사는 “과거 정권에서 임명받은 공기업 사장, 감사 등이 임기가 지났음에도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말이 나온다”며 “정책 운용의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서라도 윤석열 정부가 인사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