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이택구 대전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이 17일 '대전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생산유발 효과가 대폭 축소됐다'는 논란에 대해 직접 해명에 나섰다.
한 언론은 대전시가 2년 전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됐을 당시 생산유발 효과로 6조 2,000억 원을 전망했지만, 지난해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하며 발표한 산업단지 생산유발효과는 9,700억 원으로 대폭 축소됐다고 보도했다. 또 기업유치 불발과 공업용수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
이 부시장은 이날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계산 방식의 차이에 불과한 수치상의 오해"라며 "기업 유치나 기반시설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후보지 선정 당시 충남방적 부지를 포함한 160만 평 전체 면적에 보상비까지 포함해 유발효과를 산출했지만, 예타조사 신청 시에는 KDI 기준에 맞춰 보상비를 제외해 산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KDI 기준에 따르면 예타조사는 보상비를 포함할 경우 유발효과가 부풀려질 수 있기 때문에 객관성과 보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상비를 제외하는 게 원칙이다.
이 부시장은 “보상비를 제외하고 조성비만 기준으로 생산유발계수를 적용한 수치가 9000억 원 수준으로 추정된 것이며, 사업 자체의 위축이나 유치 실패와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보상비는 대략 70~80%로 산출돼 수치 변동폭이 클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기업 유치 불발에 대해서는 “입주 수요를 허위로 부풀린 것이 아닌, 실제 기업들로부터 받은 입주의향서를 기반으로 300% 수준의 수요를 확보했다"며 “국가산단은 지정 자체가 기업 수요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의향서 확보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했다.
공업용수 부족 문제와 관련해선 “현재 시가 보유한 정수시설만으로도 40만 톤/일 공급이 가능하다"며 “파운드리 등 대규모 제조업체 입주가 이뤄져도 공급에 문제없다"고 일축했다.
끝으로 이 부시장은 “이번 논란은 사업의 본질과 무관한 수치상의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대전의 산업정책은 면밀한 분석과 실제 수요에 기반해 추진, 국가산단 역시 기존 산업단지들과 마찬가지로 기업 유치에 성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