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부활이후 최근(2013년 8월31일 기준)까지 해양수산부 대변인실에서 대외에 발표한 보도자료, 브리핑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일본의 독도망언 사건 당시, 이에 대응하는 문건이 1건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양수산부가 운영하는 페이스북 게시물 중 정책과 관련된 게시글을 9.86%에 그친 반면, 비정책게시물과 이벤트 홍보글은 90.1%에 달해 해양수산부 대변인실의 기능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홍문표의원(새누리당, 충남 예산홍성)이 9일 자체분석한 해수부의 페이스북게시물 분석과,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보도자료 및 브리핑자료를 분석한 결과 해수부 대변인실은 규모에 비해 업무 대응 능력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며, 국민과 소통하는 SNS에서 제대로 된 정책 홍보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해수부가 지금까지 발표한 보도자료 339건 중, 일본 각료의 독도망언이 일어났을 당시, 독도에 대한 주무부처 중 한 부처로서 이에 대응하는 보도자료와 브리핑 자료를 전혀 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국방부와 외교부는 즉각 대응 보도자료를 발표한 바 있다.
이와 함께 페이스북 게시물 총 71개 중 정책과 무관하거나 이벤트 홍보성 게시물이 64건으로 90.1%를 차지했으며, 정책과 관련된 게시글을 7건으로 10%에도 못 미치는 9.86%를 나타냈다.
홍 의원은 “해양수산부가 부활된 의미는 우리나라의 해양산업과 수산업의 발전을 위한 큰 역할을 하라는 것”이라며 “대변인실이 이러한 막중한 책임감을 갖지 않고 이벤트 성 행사에 치중한다면 국민들과 어업인들이 해양수산부를 신뢰할 수 없을 것”이고 말했다.
또한 “대변인실 강화를 위해 정원(14명)을 늘려 운영하는 업무의 범위와 역할의 제고를 고민하지 않는다면 해수부 전체 업무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